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Reading Story367

#0241 - 사진 초보자가 가장 알고 싶은 59가지, 윤우석 2018년 책 100권 읽기 백 스물다섯 번째 책입니다 사진에 관심을 두고 사진을 독학으로 배우기 시작한 지 거의 일 년이 다 되어가고 있다. 그런데 처음이나 지금이나 내 사진에 큰 변화가 없는 것 같다. 슬럼프인가? 사진에 대한 흥미도 조금씩 잃어가고 있다. 이 시기를 잘 극복해야 한다. 다시 나를 다 잡을 수 있는 그 무엇이 필요하다. 처음으로 돌아가서 무엇이 잘못인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 책을 선택했다. '사진 초보자가 가장 알고 싶은 59가지'이다. 초보 사진가가 꼭 알아야 할 최소한의 지식, 시진 잘 찍는 방법은 따로 있다고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좋은 책이다. 지금 나에게 필요했던 책이다. 책은 사진과 카메라의 역사, 카메라의 종류와 구조, 사진 잘 찍는 노하우, 동영상 촬영법, .. 2018. 11. 25.
#0240 - 월간사진, 2018년 11월호(VOL.610) 2018년 책 100권 읽기 백 스물네 번째 책입니다 살다 보면 괜스레 힘이 빠지는 날이 있다. 오늘이 아니 요즘이 그렇다. 딱히 이유는 없는데 사는 게 힘들고 고달프다고 여겨진다. 모든 것이 귀찮다. 뭘 해도 손에 잡히지 않는다. 이럴 때 나를 다 잡아 주는 것이 책이다. 문제는 그 책마저도 읽기 싫을 때가 있는데 상황이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심각하다는 의미다. 살면서 이런 경우를 종종 접한다. 그럴 때마다 무너질 수 없다. 극복해야 한다. 극복하기 위한 나만의 방법을 찾아야 한다. 드론이라는 취미 생활을 하는 것도 사진에 관심을 가지는 것도 책을 읽는 것도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이다. 주중에는 드론도 사진도 즐길 수 없다. 남은 것은 책인데, 글이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이럴 땐 시각적인.. 2018. 11. 22.
#0239 - 한 장의 사진미학, 진동선의 사진 천천히 읽기 2018년 책 100권 읽기 백 스물세 번째 책입니다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것에 충실하자. 아무것도 하지 않은 상태로 시간만 흘려보낼 수는 없다. 지금 내가 하고 싶은 것은 자유롭게 사진을 찍으면서 사진을 배우는 것이지만 그렇게 할 수 없다. 아직은 아무것도 준비가 된 것이 없다. 사진이 내가 하고 싶은 것의 궁극적인 목표는 아니다. 내가 하고 싶은 것의 일부일 뿐이다. 내 인생의 궁극적인 목표는 은퇴 이후의 삶이 행복해지는 것이다. 은퇴 이후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나를 알아야 한다. 나를 찾아야 한다. 사진은 나를 찾기 위한 하나의 도구일 뿐이다. 지금은 하나씩 준비를 해야 한다.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생각해 본다.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시간을 낭비하지 않는 것이다. 책을 통해서 뭐라도 .. 2018. 11. 21.
#0238 - 죽기 전에 꼭 한 번 써보고 싶은 최고의 카메라 100 2018년 책 100권 읽기 백 스물두 번째 책입니다 태어나서 처음으로 카메라를 만져본 것이 중학교 시절이다. 당시 학교에서 클럽 활동이란 것이 있었다. 학교에서 배우는 수업 외에 취미 활동을 권장하는 차원에서 각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에 가입해서 배우는 활동을 말한다. 요즘 아이들과 비교하자면 방과 후 학습과 비슷한 것이다. 문제는 지금처럼 제대로 활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형식적인 활동이었다. 가끔 교육청으로부터 감사가 있을 경우 보여주기 위한 활동이기도 했다. 그때 자의 반, 타의 반 사진반에 가입해서 카메라를 만지게 되었다. 그때가 1980년대 중반이다. 당시 내가 처음으로 만진 카메라라 니콘의 FM2 모델이었다. 이후 나의 관심은 카메라에서 컴퓨터로 옮겨갔고, 다시 카메라를 만지게 된 것은 .. 2018. 11. 20.
#0237 - 꿈을 찍는 사진관, 아취 2018년 책 100권 읽기 백 스물두 번째 책입니다 11월 리디북스를 통해서 전자책으로 구입한 책이다. '꿈을 찍는 사진관'이란 제목에 이끌려 책을 구입했고, 지난 주말 사천만 금문 해변의 부잔교에서 일몰을 바라보며 이 책을 읽었다. 이 책은 소설이다. 카테고리는 판타지 성장 스토리라고 되어 있다. 이 책의 판타지 적인 요소에 꿈을 찍는 사진관이 등장한다. 책은 가볍게 읽을 수 있는 단편이다. 분량도 많지 않아서 가볍게 읽을 수 있다. 아마도 이 소설도 문피아나 수피아 같은 인터넷 기반에서 시작되지 않았을까 생각을 해 보았다. 요즘 작가 지망하는 작가들의 등용문이 되는 곳이 문피아나 수피아이다. 나는 이런 플랫폼이 있는 것이 좋다. 이를 통해서 작가를 더 많은 기회가 주어졌기 때문이다. 조금 황당하기도.. 2018. 11. 19.
#0236 - 멋진 사진 레시피 69, 문철진 2018년 책 100권 읽기 백 스물한 번째 책입니다 또 한 권의 문철진 작가의 책을 읽었다. 이번에 읽은 책은 'DSLR 카메라가 궁금하면 펼쳐봐! 먼진 사진 레시피 69'이다. 이로써 그의 책 3권을 읽었다. 그의 책은 막 사진에 입문한 초보자의 입장에서 읽기에 편안한 책이다. 카메라를 세팅하는 방법에서부터 구도까지 한 장의 사진을 찍기 위해 필요한 전반적인 요소를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하면서 배울 수 있도록 구성이 되어 있다. 내가 이 책을 읽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은 아직 초보자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고, 지금까지 읽었던 사진과 관련된 책을 통해서 이론적인 내용은 개념 정립이 되었으나 정작 사진을 찍을 때는 습관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몸에 익숙해지지 않고 .. 2018. 11. 19.
#0235 - 사진작가 배병우 빛으로 그린 그림, 배병우 2018년 책 100권 읽기 백 스무 번째 책입니다 사진에 관심을 두지 않았다면 알지 못했을 이름이다. 지금까지 사진과 관련된 책과 잡지를 통해서 그의 이름을 자주 접했다. 소나무를 피사체로 지금까지 계속 사진을 찍어오고 있는 사진작가. 해외에서도 인지도가 높은 그리 많지 않은 대한민국의 사진작가. 그 정도가 내가 알고 있는 사진작가 배병우다. 그를 좀 더 알고 싶었다. 이제는 사진과 관련하여 책을 읽는 범위를 넓혀야 한다는 생각을 했다. 그런 생각으로 사천 도서관의 사진과 관련된 책 코너를 돌다가 낡은 책 한 권을 보았고, 그 책이 눈에 들어 집어 들었는데 바로 이 책이다. '사진작가 배병우 빛으로 그린 그림'이다. 책 반납을 앞두고 그의 책을 다 읽었다. 그러나 아직 그의 책에 대해서 내가 얘기할 수.. 2018. 11. 14.
#0234 - 바람을 먹고 이슬에 잠자다, 이종렬 2018년 책 100권 읽기 백 열아홉 번째 책입니다. 한 권의 책을 읽었다. 이번에도 사진과 관련된 카테고리의 책이다. 이 책은 지금까지 읽은 사진과 관련된 책과는 조금 다르다. 지금까지 주로 카메라나 사진을 잘 찍는 방법과 관련된 책을 읽었지만, 이 책은 생태 사진작가, 그중에서도 특히 조류를 대상으로 사진을 찍어온 이종렬 작가의 사진 에세이다. 그의 사진에 대한 내용과 사진에 대한 그의 철학을 엿볼 수 있었던 책이다. 제목은 '바람을 먹고 이슬에 잠자다'이다. 처음부터 이런 책을 읽었다면 내가 원했던 내용이 아니라 실망을 했을 것 같다. 지금은 이런 구성과 내용이 좋다. 작가는 대학에서 신문방송학을 전공하고 신문사에서 오랜 기간 동안 보도사진 기사를 지내고 지천명을 앞두고 자신만의 사진을 찍고 싶어.. 2018. 11. 13.
#0233 - 사진이 달라지는 아이디어 100, 문철진 2018년 책 100권 읽기 백 열여덟 번째 책입니다. 사진과 관련된 한 권의 책을 읽었다. 요즘은 사진을 찍는 것이 조금 시들해졌다. 사진을 찍는 횟수가 줄어든 것은 아니다. 사진을 대하는 열정이 처음과 같지 않다. 일종의 슬럼프 같은 것일까? 그럴 때가 된 것 같다. 그렇다고 포기할 수 없다. 이유가 뭘까? 이유를 알면 조금 쉽게 이 고비를 넘어갈 수 있다. 방법을 찾아야 한다. 남들과 같은 방법으로 따라 할 필요는 없다. 슬럼프를 극복하는 방법은 개인의 성향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나는 나만의 방식을 찾으면 되는 것이다. 다시 책을 읽자. 최근에 독서량이 줄었다. 혹, 이것이 사진에 대한 열정과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닐까? 다시 문철진 작가의 책을 읽는다. 그의 책은 쉽게 읽을 수 있어 좋다.. 2018. 11.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