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The Analects of Confucius54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2편 爲政 (위정) - 첫 번째 구절 子曰: 「爲政以德, 譬如北辰, 居其所, 而衆星共之。」 안녕하세요, 여러분! 😊 오늘부터는 논어 제2편, '위정(爲政)'을 함께 학습하게 되었어요. '위정'이란 “정치를 행하다”는 뜻으로, 이 편에서는 공자의 정치철학과 이상적인 통치자, 그리고 인간다움과 인재의 조건에 대해 다루고 있어요. 공자는 ‘정치란 백성을 다스리는 것’ 그 자체가 아니라, 백성과 더불어 도(道)를 실현해가는 과정이라고 봤어요. 그래서 공자의 정치론에는 도덕적 통치, 즉 덕치(德治)가 중심에 있어요. 위정편에는 군자의 태도, 학문의 중요성, 말과 행동의 조화, 지도자의 자격과 백성을 다루는 법 등 오늘날의 리더십과도 연결되는 귀중한 교훈이 가득하답니다. .. 2025. 3. 31.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1편 學而 (학이) - 열여섯 번째 구절 子曰:「不患人之不己知,患不知人也。」 안녕하세요, 여러분! 😊 어제는 자공과 공자의 대화를 통해 겸손과 예(禮), 고전을 통한 통찰력에 대해 배웠죠. 오늘은 공자의 짧지만 강렬한 말씀을 통해 진정한 걱정은 ‘남이 나를 몰라주는 것’이 아니라 ‘내가 남을 제대로 모르는 것’이라는 지혜를 함께 나눠볼게요. 논어 제1편 16장의 의미 📖 사람은 누구나 인정받고 싶고, 이해받고 싶어하죠. 하지만 공자는 타인의 평가보다 내가 타인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느냐가 더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이는 내면의 성찰, 인간관계의 본질을 돌아보게 하는 깊은 메시지예요. 📌 학이편 16장의 핵심 주제 ✔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타인을 이해하는 .. 2025. 3. 29.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1편 學而 (학이) - 열다섯 번째 구절 子貢曰:「貧而無諂,富而無驕,何如?」 子曰:「可也。未若貧而樂,富而好禮者也。」 子貢曰:「《詩》云:『如切如磋,如琢如磨。』其斯之謂與?」 子曰:「賜也,始可與言詩已矣!告諸往而知來者。」 안녕하세요, 여러분! 😊 어제는 배움을 사랑하는 사람의 삶의 자세에 대해 살펴봤죠. 오늘은 공자와 제자 자공의 대화를 통해 진정한 인격 수양의 기준은 단순한 '겸손' 그 이상이라는 깊은 교훈을 함께 나눠보려 해요. 논어 제1편 15장의 의미 📖 자공은 "가난해도 아첨하지 않고, 부유해도 교만하지 않다면 어떻습니까?"라고 묻고, 공자는 "그것도 훌륭하지만, 가난해도 즐겁고, 부유하면서도 예를 좋아하는 것이 더 낫다"고 답합니다. 이는 겸손의 외면을 넘어서, .. 2025. 3. 28.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1편 學而 (학이) - 열네 번째 구절 子曰:「君子食無求飽,居無求安,敏於事而慎於言, 就有道而正焉,可謂好學也已。」 안녕하세요, 여러분! 😊 어제는 유자의 말씀을 통해 사람됨의 기본 덕목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오늘은 공자께서 직접 말씀하신 ‘배움을 사랑하는 사람의 삶의 태도’에 대해 배워볼 거예요. 진정으로 배우는 사람은 절제된 삶과 언행을 갖춘다는 공자의 가르침을 함께 되새겨보아요. 논어 제1편 14장의 의미 📖 이 구절은 학문을 사랑하는 사람의 구체적인 삶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단순히 책을 읽는 것이 아니라, 배움을 실천하는 삶을 살아야 진정한 학습자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어요. 📌 학이편 14장의 핵심 주제 ✔ 절제된 생활 태도는 배움의 출발점이다. ✔ 신중한.. 2025. 3. 27.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1편 學而 (학이) - 열세 번째 구절 有子曰:「信近於義,言可復也;恭近於禮,遠恥辱也;因不失其親,亦可宗也。」 안녕하세요, 여러분! 😊 어제는 예(禮)와 조화(和)의 관계를 중심으로 사회적 질서와 조화로운 관계의 중요성에 대해 배웠죠. 오늘은 유자가 '사람다운 사람'이 되기 위한 세 가지 핵심 태도를 제시합니다. 바로 신의(信), 공손함(恭), 인간관계의 유지(親)입니다. 논어 제1편 13장의 의미 📖 이 구절은 일상적인 인간관계 속에서 말과 행동의 신뢰, 공손함의 가치, 그리고 관계 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해요. 이 세 가지가 갖추어진 사람은 누구나 본받을 만한 사람, 즉 존경받는 인물로 여겨질 수 있다고 유자는 말합니다. 📌 학이편 13장의 핵심 주제 ✔ 신의(信).. 2025. 3. 26.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1편 學而 (학이) - 열두 번째 구절 有子曰:「禮之用,和為貴。先王之道斯為美,小大由之。有所不行,知和而和,不以禮節之,亦不可行也。」안녕하세요, 여러분! 😊 어제는 공자의 말씀을 통해 진정한 효도의 의미를 살펴봤죠. 오늘은 공자의 제자 중 한 사람인 유자(有子)의 말을 통해 ‘예(禮)’의 본질은 조화(和)에 있으며, 그 조화는 반드시 예로 조절되어야 한다는 가르침을 살펴보려 해요.논어 제1편 12장의 의미 📖이 구절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조화로운 관계가 예의 핵심이라는 점을 말합니다. 하지만 단순히 화합만을 추구할 것이 아니라, 예(禮)의 틀 안에서 조화를 이뤄야 진정으로 아름다운 삶의 방식이 된다고 강조해요.📌 학이편 12장의 핵심 주제✔ ‘예’는 외적인 형식보다 내적인 조화를 위한 도구다. ✔ 모든 인간관계는 예를 통해 조화롭게 유지되어야.. 2025. 3. 25.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1편 學而 (학이) - 열한 번째 구절 子曰:「父在,觀其志;父沒,觀其行;三年無改於父之道,可謂孝矣。」 안녕하세요, 여러분! 😊 어제는 공자의 정치에 대한 태도와 진정한 리더는 덕에서 나온다는 가르침을 배웠습니다. 오늘은 효도의 진정한 의미를 살펴보며, 공자가 효를 단지 부모를 잘 모시는 것 이상의 의미로 설명한 내용을 배워볼게요. 논어 제1편 11장의 의미 📖 이번 구절에서 공자는 효도를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합니다. 부모가 살아계실 때는 그 자식의 뜻을 보고, 돌아가신 뒤에는 그 행동을 본다고 말하며, 부모의 삶의 방식을 그대로 따르며 3년간 변하지 않는다면, 진정으로 효도하는 자라고 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 학이편 11장의 핵심 주제 ✔ 효는 단지 섬.. 2025. 3. 24.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1편 學而 (학이) - 열 번째 구절 子禽問於子貢曰:「夫子至於是邦也,必聞其政,求之與?抑與之與?」 子貢曰:「夫子溫、良、恭、儉、讓以得之。 夫子之求之也,其諸異乎人之求之與?」 안녕하세요, 여러분! 😊 어제는 증자의 말을 통해 삶의 마무리와 조상 공경의 중요성을 배웠죠. 오늘은 공자의 정치에 대한 태도와 그가 어떻게 덕을 바탕으로 사람들의 신뢰를 얻었는지에 대해 살펴볼게요. 권력이나 지위를 탐하지 않고, 온화하고 겸손하며 예의 바른 자세로 사람들에게 인정받는 공자의 모습에서 많은 걸 배울 수 있습니다. 논어 제1편 10장의 의미 📖 이 구절은 제자 자금(子禽)이 자공에게 공자의 정치 참여에 대해 묻는 장면이에요. 공자가 새로운 나라에 가면 어떻게 정치를 .. 2025. 3. 23.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1편 學而 (학이) - 아홉 번째 구절 曾子曰: "愼終追遠, 民德歸厚矣." 안녕하세요, 여러분! 😊 어제 논어 제1편 8장에서 군자의 기본 자질과 자기반성의 중요성을 배웠습니다. 오늘은 공자의 제자 증자(曾子)가 강조한 "삶을 마무리하는 태도와 조상을 공경하는 것이 민심을 두텁게 만든다"는 가르침을 배워보겠습니다. 논어 제1편 9장의 의미 📖 이번 구절에서는 삶의 마무리에 대한 신중함과 조상 공경의 중요성을 배울 수 있습니다. "사람은 마지막 순간을 신중히 해야 하며, 조상을 공경하면 민심이 자연스럽게 두터워진다." 📌 학이편 9장의 핵심 주제 ✔ 삶의 마지막을 신중히 해야 한다. ✔ 조상을 공경하는 것이 중요하다. ✔ 조상 공경은 민심을 두텁게 만든다. .. 2025. 3.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