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나를 위해 귀찮더라도 블로그를 정리해야 한다. 이제 더 이상 서버를 운영할 일이 없다고 생각하고 Windows Server 2016을 밀고 Windows 10을 설치했다. 그러나 외부에서 원격 접속을 통해 작업할 상황은 가끔 발생하기 때문에 원격지에서 Windows 10 Desktop을 On/Off 및 원격 접속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특별히 문제가 될 것은 없을 것이라 생각했다. 나의 착각이었다. 이제 이런 설정도 나의 일상이 아닐뿐더러 나이까지 들어서 예전에 수행했던 작업도 하나씩 잊힌다. 그래서 정리가 필요하다. 언제 또 이런 작업을 수행해야 할 상황이 닥칠지 모르기에 기록을 해 두어야 한다. 물론 인터넷 검색을 통해 다른 글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문제는 정보가 넘쳐나기 때문에..
설 연휴기간이 끝나고 일상으로 복귀를 했습니다. 명절 후유증 때문인지 힘든 하루를 보내고 있습니다. 그래도 오늘은 반가운 소식을 접했고, 또 반가운 소식을 전할 수 있어서 기쁩니다. 어쩌면 나에게는 2018년을 시작하고 가장 반가운 소식 중 하나라고 해도 될 것 같습니다. 이런 일로 즐거워하는 것을 보면 이것도 직업병의 일종입니다. 어쨌든 아이폰과 아이패드, 맥북 등의 애플 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와 해외에서 국내로 VPN 접속을 하는 사용자들에게는 반가운 소식입니다. 내용은 ipTIME 공유기에서 L2TP VPN을 지원한다는 내용입니다. 다만 ipTIME 공유기의 모든 기종에서 L2TP VPN을 지원하는 것은 아니고 현재 시점에서는 상위 일부 기종의 공유기(11개 제품)에서만 지원을 합니다. L2T..
원격 접속(Teleconnections, 遠隔接續)은 자신이 사용권한을 가지고 있는 전제하에 다른 곳에 위치한 컴퓨터를 온라인으로 연결(TCP/IP체계)하여 사용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하면 서버 관리자가 서버실에 있는 다수의 서버를 서버실이 아닌 사무실 또는 원격지에서 서버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제공된 기술이다. 최근에는 팀뷰어 같은 다양한 원격 제어 도구들이 출시되어 누구나 쉽게 원격 제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이제는 크롬 웹브라우저의 Plug-in 프로그램인 구글 크롬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Chrome Remote Desktop)를 통해 다른 데스크톱 PC나 휴대기기에서 윈도우, 맥, 리눅스, 크롬북 같은 모든 컴퓨터를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원격 접속을 이용하면 ..
원격 접속(Teleconnections, 遠隔接續)은 자신이 사용권한을 가지고 있는 전제하에 다른 곳에 위치한 컴퓨터를 온라인으로 연결(TCP/IP체계)하여 사용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하면 서버 관리자가 서버실에 있는 다수의 서버를 서버실이 아닌 사무실 또는 원격지에서 서버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제공된 기술이다. 최근에는 팀뷰어 같은 다양한 원격 제어 도구들이 출시되어 누구나 쉽게 원격 제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이제는 크롬 웹브라우저의 Plug-in 프로그램인 구글 크롬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Chrome Remote Desktop)를 통해 다른 데스크톱 PC나 휴대기기에서 윈도우, 맥, 리눅스, 크롬북 같은 모든 컴퓨터를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원격 접속을 이용하면 ..
원격 접속(Teleconnections, 遠隔接續)은 자신이 사용권한을 가지고 있는 전제하에 다른 곳에 위치한 컴퓨터를 온라인으로 연결(TCP/IP체계)하여 사용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하면 서버 관리자가 서버실에 있는 다수의 서버를 서버실이 아닌 사무실 또는 원격지에서 서버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제공된 기술이다. 최근에는 팀뷰어 같은 다양한 원격 제어 도구들이 출시되어 누구나 쉽게 원격 제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이제는 크롬 웹브라우저의 Plug-in 프로그램인 구글 크롬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Chrome Remote Desktop)를 통해 다른 데스크톱 PC나 휴대기기에서 윈도우, 맥, 리눅스, 크롬북 같은 모든 컴퓨터를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원격 접속을 이용하면 ..
드디어 원격 접속을 위한 환경 구축하기 마지막 7편 원격지에서 WOL 기능을 이용해서 PC를 켜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포스팅이 원격 접속과 관련해서 마지막 포스팅은 아닙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언급이 되었지만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는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원격 데스크톱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원격 데스크톱 사용을 위한 환경이 구축되어야 합니다. 오늘까지는 원격 데스크톱을 사용하기 위한 환경 구축과 관련해서 포스팅을 진행하였고, 이후에는 원격 데스크톱을 활용하는 방법을 하나씩 정리해서 올리겠습니다. 그럼 지금까지 진행된 내용을 토대로 원격지에서 집에 있는 서버 또는 PC에 접속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원격지에서 집에 있는 서버(또는 PC)를 켜는 방법과 접속하는 방..
오늘은 우리 집의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위한 여섯 번째 시간으로 원격지에서 집에 있는 서버 또는 데스크톱 PC에 접속을 하기 위한 대상 시스템의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 활성화 설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과정은 아래 링크를 클릭 후 사전 학습을 해 주세요. 지금까지 원격지에서 집에 있는 서버(데스크톱)에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 설정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았고 모든 설정이 끝났습니다. 통상적으로 네트워크의 연결은 사용자(End Point)에서 시작하여 네트워크(Mid Point)를 통과하여 다시 최종 사용자(또는 서버, End Point)에 연결되는 구조입니다. 이제 우리는 마지막 연결을 위한 End Point 설정만 살펴보면 원격지에서 집에 있는 서버(데스크톱)를 마음껏 이용할 수 있습니다. 1. 접속..
오늘은 우리 집의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위한 다섯 번째 시간으로 ipTIME 공유기의 관리자 페이지를 외부에서 접속하기 위한 원격 접속 포트 설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과정은 아래 링크를 클릭 후 사전 학습을 해 주세요. 참고로 오늘 설명할 공유기의 원격관리를 위한 원격 접속 포트 설정은 보안에 취약합니다. 공유기의 기본 설정은 외부 네트워크가 아닌 외부에서는 관리자 페이지에 원칙적으로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물론 vpn을 설정하면 vpn을 통해서 외부에서 내부와 동일한 네트워크 상태가 되어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로 접속이 가능합니다. 보안을 위해서라면 이 방법을 권장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공유기에서 제공하는 PPTP 기반의 vpn 서비스도 보안에 취약한 요소를 가지고 있기에 편의를 위해서 공유기..
오늘은 우리 집의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위한 네 번째 시간으로 ipTIME 공유기의 포트 포워딩 설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을 통해 원격지에서 우리 집에 있는 서버(데스크톱)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기의 WOL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어야 하는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또 원격지에서 가정용 공유기에 접속하기 위해서 필요한 DDNS 설정과 WOL 설정도 배웠습니다. 관련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오늘은 다음 순서로 공유기에서 가정에 있는 서버(데스크톱)의 전원을 On/Off 할 수 있도록 원격지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를 가정용 공유기에 등록하는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1. 접속하고자 하는 서버(데스크톱)의 WOL 활성화2. 공유기의 DDNS 설정3. 공유기의 WOL 설정4. ..
오늘은 우리 집의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위한 세 번째 시간으로 ipTIME 공유기의 WOL(Wake On Lan) 설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을 통해 원격지에서 우리 집에 있는 서버(데스크톱)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기의 WOL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어야 하는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또 원격지에서 가정용 공유기에 접속하기 위해서 필요한 DDNS 설정도 배웠습니다. 관련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오늘은 다음 순서로 공유기에서 가정에 있는 서버(데스크톱)의 전원을 On/Off 할 수 있도록 원격지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를 가정용 공유기에 등록하는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1. 접속하고자 하는 서버(데스크톱)의 WOL 활성화 2. 공유기의 DDNS 설정 3. 공유기의 WOL 설..
오늘은 우리 집의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위한 두 번째 시간으로 ipTIME 공유기의 DDNS 설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DDNS에 대해 얘기를 하기 위해서는 IP와 DNS에 대해 이해를 하고 있어야 합니다. 무엇이든 원리를 알고 이해를 하면 좀 더 쉽고 정확하게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IP는 쉽게 설명하면 인터넷을 위한 주소 체계입니다. 예를 들어 제가 누군가에게 편지를 써서 보내고 답장을 받기 위해서는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주소가 있어야겠죠. 이처럼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 기기마다 고유한 주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같은 주소가 여러 곳에 중복되어 있으면 어떻게 될까요? 인터넷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는 고유한 주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야 내가 구글에 어떤 정보..
기술의 발달로 인해 우리는 항상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에 놓여 있습니다. 이를 조금만 잘 활용하면 때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 특정한 사람들에게만 주어진 특권이 아니라 누구나 누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그 방법을 몰라서 문명을 혜택을 누리고 있지 못하는 이들을 위해서 이 포스팅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먼저 제가 개인적으로 누리고 있는 스마트워킹을 위한 환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어 작업실이라고 불리는 우리 집 그리고 나의 방의 네트워크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나의 작업실에 대한 네트워크 구성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좀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2017/04/24 - [Smart Working] - VPN 활용법 #02 - IT 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