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Reading Story367

#0250 - 기사단장 죽이기 2, 전이하는 메타포, 무라카미 하루키 장편소설 2018년 책 100권 읽기 백 서른네 번째 책입니다 조금 혼란스럽다. 고민거리가 생겼다. 일이 손에 잡히질 않는다. 연말에 남은 연차 소진하라고 해서 연차를 사용했다. 오전에 카페에 나왔다. 오후에는 사업계획 때문에 회사에 들어가야 한다. 그냥 맘 편하게 책을 읽고 싶다. 아내에게는 연차 사용하고 출근해야 한다고 말하기가 그래서 출근한다고 이야기하고 카페로 나왔다. 별다방이다. 별다방은 아침 일찍 오픈해서 좋다. 커피와 베이글을 사이렌 오더로 주문하고 창가에 자리를 잡고 책을 읽었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기사단장 죽이기 2편, 전이하는 메타포다. 이 책은 회사 직원에게 빌린 책이다. 오래되었는데 계속 읽지 못하고 있다가 해는 넘기지 않고 돌려줘야 할 것 같아서 책을 읽었다. 책의 두께 때문에 책을 읽기가.. 2018. 12. 24.
#0249 - 아이디어가 반짝이는 DSLR 촬영 테크닉 2018년 책 100권 읽기 백 서른세 번째 책입니다 2018년 새해가 시작되면서 사진을 본격적인 취미 생활로 배우기 시작했다. 이제 2018년이 거의 끝나가고 있다. 올해는 사진과 관련된 책을 읽으며 사진을 독학으로 배우고 있지만 사진은 여전히 쉽지가 않다. 어렵고 힘들다고 포기하고 싶은 생각은 없다. 사진을 공략의 대상으로 여길 것이 아니라 즐길 수 있어야 한다. 전문적인 작가들처럼 깊이 있는 사진만을 찍을 필요가 없다. 재미있는 사진을 찍으며 사진을 찍는 행위를 즐길 수 있어야 한다. 지금 읽고 있는 박웅현의 '여덟 단어'에 이런 내용이 있다. "경험상 돈을 따라가면 재미도 없고 재미를 따라가면 돈도 따라온다." 나는 사진을 돈을 벌기 위해 시작한 것이 아니다. 즐길 줄 알아야 한다. 사진을 즐기기.. 2018. 12. 23.
#0248 - 기사단장 죽이기 1, 현현하는 이데아, 무라카미 하루키 장편소설 2018년 책 100권 읽기 백 서른두 번째 책입니다 2018년이 얼마 남지 않았다. 올해가 지나가기 전 꼭 해야 할 것을 해야 한다. 그래서 이 책을 선택했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장편소설 기사단장 죽이기를 읽어야 하는 것도 올해가 지나기 전 꼭 해야 할 일 중 하나다. 올해는 무라카미 하루키의 책을 많이 읽었다. 이제는 그의 소설은 믿고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이 소설 역시 그의 다른 소설에서와 같이 외설적인 내용이 많다. 그러나 그것은 소설을 관통하는 핵심적인 내용은 아니다. 어쩌면 이 소설은 1Q84와 통하는 부분이 많은 것 같다. 나는 누군가의 이름을 익히는 것이 어렵다. 소설을 읽을 때 처음부터 등장하는 다수의 사람들을 익히는 것이 어렵다. 그래서 소설을 읽을 때는 수첩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이.. 2018. 12. 22.
#0247 - 서양미술사의 그림 vs 그림, 김진희 2018년 책 100권 읽기 백 서른한 번째 책입니다 무언가를 음미할 때는 무엇보다 여유가 필요하다. 물론 시간적인 여유도 중요하지만 마음의 여유가 더 중요하다. 제아무리 시간이 넉넉하게 주어져도 마음의 여유가 없다면 대상을 충분히 느끼고 여운까지 즐기는 일은 불가능하다. 미술 감상에서 가장 중요한 게 바로 마음의 여유다. 마음의 여유는 추체의 감각을 섬세하고 예민하게 북돋워 감상 대상을 그 정수까지 충만히 느끼게 한다. 그런 여유를 갖기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마음을 비우는 것이다. 일상의 과제나 업무에 치여 생겨난 조바심과 불안감도 내려놓아야 하겠지만, 이른바 전문 지식이나 경험의 부족에 따른 소외감과 열등감도 털어버려야 한다. 역시나 전문가들의 시선은 다르다. 나의 막눈으로는 아무리 보아도 볼 .. 2018. 12. 18.
#0246 - Neo Kim’s 상황, 장소, 시간에 따른 DSLR 야외 인물사진 촬영 테크닉, 김형걸 2018년 책 100권 읽기 백 서른 번째 책입니다 또 한 권의 사진과 관련된 책을 읽었다. 이번에는 야외 인물사진 촬영 테크닉을 다른 책이다. 이제는 사진과 관련된 책을 읽는 것이 조금은 편해졌다. 그럴 법도 하다. 나는 나름의 기준을 가지고 있다. 특정 분야와 관련해서 100권의 책을 읽으면 큰 그림을 그릴 수 있을 정도의 지식을 갖출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나는 새로운 분야에 관심을 가지면 그 분야의 책을 몰아서 읽는다. 올해는 사진에 관심을 가지고 사진과 관련된 책을 몰아서 읽었다. 지금도 진행 중이다. 이제 거의 100권 가까이 읽었다. 이제는 용어가 생소하지 않고 책에서 다루는 내용이 새롭게 느껴지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진이 늘지 않는다. 당연하다. 머리로만 사진을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 2018. 12. 8.
#0245 - 사진의 극과 극, 카피라이터 최현주의 상상충전 사진 읽기 2018년 책 100권 읽기 백 스물아홉 번째 책입니다 사진과 관련된 또 한 권의 책을 읽었다. '사진의 극과 극'이란 책이다. 작가는 카피라이터라는 직업을 가지고 있다. 그러면서 사진을 직접 찍기도 하고, 사진에 대한 평론을 남기는 일도 병행하고 있다. 다른 누군가의 작품(글, 사진, 그림, 영화 등)을 공식적인 매체를 통해서 평론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해당 분야는 물론이며, 그 주변에 있는 내용까지도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가능하다. 무엇보다 자신만의 뚜렷한 기준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해박한 지식, 작가의 글에서 그녀의 일에 대한 배경도 독서가 근간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독서를 통해 얻는 지식으로 서로 다른 분야를 연결해서 생각할 수 능력도 필요하다. 사진을 보면서 .. 2018. 12. 3.
#0244 - 브라이언 피터슨 사진의 모든 것, 어떤 카메라로든 놀라운 사진을 찍는 방법 2018년 책 100권 읽기 백 스물여덟 번째 책입니다 소장하고 싶은 책이다. 사진을 취미로 배우는 사람도 직업으로 활동하는 사람도 이 책은 꼭 읽어보라고 말하고 싶다. 브라이언 피터슨의 '사진의 모든 것'이란 책이다. 부제는 어떤 카메라로든 놀라운 사진을 찍는 방법이다. 이 책을 선택하는 데 있어 제목보다 부제가 더 끌렸다. 이제까지 사진과 관련된 책을 제법 읽었지만 지금까지는 국내 작가의 책만 읽었다. 가끔 사진작가가 아닌데 번역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들이 책을 번역할 경우 책을 읽는 경우가 불편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이 책도 그렇지 않다고는 말할 수 없다. 두 사람은 전문적으로 번역을 하는 사람이고, 사진 작업을 하는 이가 내용을 감수를 한 것 같다. 다행히 읽기에 불편함은 없었다. 먼저 저자.. 2018. 12. 2.
#0243 - 가장 예쁜 생각을 너에게 주고 싶다, 나태주 2018년 책 100권 읽기 백 스물일곱 번째 책입니다 기분이 꿀꿀하다. 위로를 받고 싶은 하루다. 뭘 해도 일이 손에 잡힐 것 같지 않다. 주말부터 이런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어떻게 이 난관을 극복할 수 있을까? 주말에 좋아하는 드론을 날리면 기분이 좀 풀릴까 했는데 배터리 한 팩만 날리고 집으로 돌아왔다. 책 읽는 것도 내키지 않아서 잡지를 보았지만 소용이 없었다. 골방에서 영화를 두 편 보았다. 영화를 보는 그 순간은 좋았지만 영화가 끝이 나고 나면 다시 원점으로 복귀했다. 결국 내가 선택한 방법은 다시 책이다. 지친 삶에 위로가 될 것 같은 책을 골랐다. 바로 나태주 시인이 시집이다. 그의 시집 '풀꽃'은 읽은 직후 이 책을 구입했다. '가장 예쁜 생각을 너에게 주고 싶다'이다. 나는 시를 잘 .. 2018. 11. 28.
#0242 - 사진예술, 2018년 11월호(VOL.355) 2018년 책 100권 읽기 백 스물여섯 번째 책입니다 마음이 복잡하다. 쉬고 싶다. 휴식이 필요하다. 책을 읽어도 글이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다 내려놓고 싶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그렇게 살고 있다. 하고 싶은 것만 하면서 삶을 살아가는 이들이 얼마나 될까? 나중을 생각하자. 패턴을 잃지 않아야 한다.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가볍게 읽을 책을 선택하는 것이다. 그래서 선택한 책이 '사진예술 2018년 11월호', VOL. 355호이다. 답답한 심정 때문일까? 사진도 글도 기억에 남는 것이 별로 없다. 그나마 양재문 작가의 글과 진동선 작가의 글을 읽었던 것만 기억에 남는다. 뭘 해도 마음이 평안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다. 빨리 안정을 찾아야 한다... 2018. 11.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