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독서181 #0179 - 이상한 도서관, 무라카미 하루키 2018년 책 100권 읽기 예순네 번째 책입니다. 일요일 새벽 러시아 월드컵 멕시코와의 2차전 경기를 보고 난 후 잠이 오질 않았다. 축구가 뭣이라고 패배한 것이 분해서 잠이 오질 않다니. 좋게 생각하자면 나만의 방식으로 애국심에 대한 표출이다. 억지로 잠을 청하고 싶지 않아서 책을 읽었다. 덕분에 무라카미 하루키의 장편 '1Q84' BOOK2를 다 읽었다. 일요일 아침이건만, 조금 늦잠을 자도 되건만, 평소와 같은 시간에 잠에서 깨었다. 아직 아내와 아이들이 취침 중이라 혼자서 할 수 있는 것을 선택했다. 어제 도서관에서 빌린 책 중에서 아침에 완독 할 수 있는 무라카미 하루키의 단편을 선택했다. 제목이 '이상한 도서관'이다. 책은 활자도 크고, 삽화도 있어서 아이들도 쉽게 읽을 수 있을 것 같았다... 2018. 6. 26. #0178 - 1Q84 BOOK2 7月-9月, 무라카미 하루키 2018년 책 100권 읽기 예순세 번째 책입니다. 주말을 바쁘게 보내고 있다. 주중보다 더 바쁘다. 해야 할 것들, 하고 싶은 것들이 많다. 내 삶에서 행복을 추구하고 행복을 느끼는 시간은 주중보다는 주말에 몰려있다. 책 읽는 것도 행복을 느끼는 것 중 하나다. 이번 주말에는 꼭 읽어야 할 책이 있다. 바로 무라카미 하루키 작가의 '1Q84 BOOK2'이다. 주중에 사천도서관에서 문자를 받았다. BOOK2를 예약을 걸어 놓았는데, 반납이 되었다고 연락이 왔다. 23일(토)까지 도서관에 들러서 대출을 하라고 했다. BOOK2와 BOOK3을 다 다 대출할까 생각을 했다. 그러나 BOOK2만 대여했다. 600페이지가 넘는 분량이라 주말에 책을 다 읽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했다. 대신 무라카미 하루키 작가의 단.. 2018. 6. 25. #0175 - 1Q84 BOOK1 4月-6月, 무라카미 하루키 2018년 책 100권 읽기 예순 번째 책입니다. '1Q84 BOOK1 4月-6月'을 읽었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대표작 '1Q84'는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제 BOOK1을 읽었다. 아직 끝난 이야기가 아니기 때문에 독서노트를 남기기보다는 계속해서 다음 이야기를 읽고 싶었다. 토요일 오전 도서관으로 달려갔다. 그러나 2권은 다른 누군가가 대여중이다. 예약을 걸어 놓았다. 아쉽다. 그렇다고 BOOK2를 스킵하고 BOOK3을 읽고 싶지 않았다. 우선 책을 읽으면서 정리되지 않는 내용들을 정리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책은 2명의 인물을 중심으로 얘기가 전개된다. BOOK1은 24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오마메라는 20대 후반의 여성과 30대 초반의 덴고라는 남성이 주인공이다. 1장은 아오마메.. 2018. 6. 17. #0173 - 명화로 만나는 서양 미술사 1, 최병용 2018년 책 100권 읽기 쉰여덟 번째 책입니다. 새로운 분야의 책을 읽었다 서양 미술사와 관련된 책이다. 자의든 타의든 미술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책을 읽은 것은 초등, 중등 교육 이후로 처음인 것 같다. 고등 교육부터는 입시와 관련이 없어서 미술 수업은 없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것이 우리의 교육 현실이다. 원래 그림에 소질이 없어서 미술에 관심도 없었지만 우리의 교육 과정이 입시 위주로 되어 있어서 최소한의 인문적 소양을 위한 미술과 관련된 지식을 습득할 기회도 없었다. 그렇게 미술은 내 인생에서 잊힌 상태로 지내왔는데, 지금 서양 미술사와 관련된 한 권의 책을 읽었다. 이 책은 만화로 된 책이다. 그림으로 되어 있어서 접근성은 좋다. 쉽게 읽을 수 있고, 대략적인 맥락을 읽기에는 좋은 것 같다... 2018. 6. 13. #0171 - 혼자하는 공부의 정석, 한재우 2018년 책 100권 읽기 쉰여섯 번째 책입니다. 두 아이를 키우고 있다. 내 부모님이 그랬던 것처럼 나도 두 아이가 공부를 잘하기를 바란다. 이는 세상의 모든 부모님들의 바람이다. 문제는 부모의 바람만으로 아이들이 공부를 잘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저 내 부모가 그랬던 것처럼 바라기만 하는 것으로 아이들이 공부를 잘한다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그 궁금증이 이 책을 선택하게 했고, 나름 이 책을 통해 공부하는 방법에 대해 많은 것을 생각했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는 나 또한 아이들에게 어떻게 공부를 해야 하는지 그 방법에 대해서는 설명 없이 공부를 잘해야 한다는 요구만 말로 던졌을 뿐이다. 이는 결국 공부를 하는 시간을 늘리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요구하지 않은 것과 같다. 해.. 2018. 6. 10. #0169 - 시민의 교양, 채사장 2018년 책 100권 읽기 쉰네 번째 책입니다. 지난 주말은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이 아닌 혼자 도서관에서 시간을 보냈다. 최근에 소설을 읽으면서 재미를 느끼고 있고, 이제는 김훈 작가의 '칼의 노래'와 무라카미 하루키 작가의 '1Q84'를 읽어도 되겠다는 생각을 했다. 사천 도서관에서 책을 빌리기 위해 들렀다. 다른 코너에서 채사장의 책이 눈에 들어왔다. 아직 읽지 않은 '시민의 교양'이란 책이다. 채사장의 책은 지금까지 다 좋았다. 생각이 행복을 지배했다. 이 책을 함께 빌렸다. 아뿔싸 그런데 이 책은 지난달에 내가 전자책으로 구입한 책이다. 뭐 어쩌겠는가 이렇게 빌렸으니 오래간만에 종이 냄새를 맡으며 책을 읽는 것도 나쁘지 않았다. 2018/05/23 - [리디북스] - 5월 리디북스 도서 구매.. 2018. 6. 5. #0167 - 사진작가 길승우 (6), 나성문, 현대판타지 장편소설 2018년 책 100권 읽기 쉰두 번째 책입니다. 드디어 마지막 6권입니다. 지금까지는 속도를 내어 빠르게 책을 읽었는데 마지막 권이라 생각되니 조금 천천히 책을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마지막이 아닙니다. 기꺼해야 하는 것인지? 아니면 슬퍼해야 하는 것인지? 분명 책을 구입할 때는 6권까지 있어서 묶음으로 구입을 했는데, 6권으로 이야기가 종결이 되지 않았습니다. 책은 문피아라는 사이트에서 계속 연재되고 있으며 책이 한 권 분량이 채워지면 다시 책으로 출간될 것 같습니다. 저는 그 사이 기다리면서 다른 책을 읽어야 할 것 같습니다. 굳이 문피아 사이트에 접속해서 매일 새로운 분량이 올라오기를 기다리는 행동을 하고 싶지 않습니다. 6권의 이야기는 보도 분야에서 사진기자로 활동을 접고 다시 .. 2018. 6. 1. #0166 - 사진작가 길승우 (5), 나성문, 현대판타지 장편소설 2018년 책 100권 읽기 쉰한 번째 책입니다. 이제 이 소설도 끝이 보이기 시작한다. 예전에 무협소설을 읽을 때는 밤을 지새우며 책을 읽기도 했는데, 지금은 저질 체력이라 밤새워 책을 읽는 것은 상상도 못 할 것 같다. 최근 며칠간 초여름 날씨라서 퇴근 후 샤워를 하고 나서는 곧바로 잠들어 버린다. 때문에 아침에 일찍 일어나 책을 읽고 있다. 여전히 아침에 눈 뜨는 것은 힘들지만 다시 눕지 않고 이 책을 읽고 있다. 아침잠을 포기하고 책을 읽을 정도면 충분히 재미있다고 평가해도 될 책이라 생각한다. 물론 내 기준이다. 4월까지 독서량이 많이 부족했는데 5월은 이 책이 있어서 독서량이 늘었다. 매년 책 100권 읽기 목표를 실행에 옮기고 있는데, 오늘이 5월의 마지막 날이다. 이 책이 51번째 책이니 .. 2018. 5. 31. #0165 - 사진작가 길승우 (4), 나성문, 현대판타지 장편소설 2018년 책 100권 읽기 쉰 번째 책입니다. 우연히 얻어걸린 행복을 느껴 보신 적이 있나요? 이 소설이 바로 그러합니다. 어제는 밤 10시가 넘어서 퇴근을 했습니다. 피곤해서 바로 쉬고 싶었는데 지금 읽고 있는 이 소설이 재미가 있어서 읽고 있던 4권을 마저 읽고 나서야 잠자리에 들었습니다. 사진에 관심을 두고 있지만 사진작가라는 직업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그 직업에 대한 이해도 키울 수 있게 되었습니다. 4권의 상업사진작가로 승승장구하는 사진작가 길승우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이제는 스승인 정만종 작가에게 인정을 받는 사진작가로 거듭나고, 혼자서 다양한 분야의 사진을 찍는 경험도 얻게 됩니다. 소위 말하는 상업사진 분야에서 인정받는 작가가 되었습니다. 게다가 스승인 정만종 작가와 협업을 .. 2018. 5. 30.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