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문학54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2편 爲政 (위정) - 열두 번째 구절 子曰: 「君子 不器」 안녕하세요, 여러분! 😊 오늘은 논어 제2편 12장을 통해 공자가 군자의 존재 의미와 깊이를 어떻게 정의했는지 배워볼게요. 단순히 기능이나 역할에만 머무르지 않고,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며 더 넓은 시야를 지닌 사람, 그것이 바로 공자가 말하는 ‘군자’라는 점, 함께 살펴보아요. 📋 목차 오늘의 논어 한 구절 📜 구절의 의미와 해석 🧐 생활 속 적용 방법 💡 .. 2025. 4. 11.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2편 爲政 (위정) - 아홉 번째 구절 子曰: 「吾與回 言終日 不違如愚。 退而省其私,亦足以發。 回也不愚。」 안녕하세요, 여러분! 😊 오늘 함께 배울 구절은 논어 제2편 9장으로, 공자가 가장 아꼈던 제자 ‘안회(顔回)’에 대한 이야기에요. 공자는 안회를 두고 겉으로는 말이 없고 순종적인 것 같지만, 실제로는 깊이 배우고 있는 인물이라며 칭찬했어요. 조용히 실천하는 태도의 중요성을 다시금 느낄 수 있는 구절이에요! 📋 목차 오늘의 논어 한 구절 📜 구절의 의미와 해석 🧐 .. 2025. 4. 8.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2편 爲政 (위정) - 일곱 번째 구절 子游 問孝 子曰: 「今之孝者 是謂能養。 至於犬馬 皆能有養。 不敬 何以別乎?」 안녕하세요, 여러분! 😊 오늘은 논어 제2편 7장을 함께 공부해보려 해요. 이번 구절에서 공자는 제자 ‘자유(子游)’가 묻는 ‘효’의 진짜 의미를 짚어주며 단순히 먹이고 입히는 것만이 효가 아님을 일깨워줍니다. 부양(供養)은 누구나 할 수 있지만, 그 안에 ‘존경심’이 없다면 인간다운 효가 아니다는 아주 깊은 철학이 담겨 있죠. 📋 목차 오늘의 논어 한 구절 📜 구절의 의미와 해석 🧐 .. 2025. 4. 6.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2편 爲政 (위정) - 두 번째 구절 子曰: 「詩三百, 一言以蔽之, 曰 思無邪。」 안녕하세요, 여러분! 😊 어제는 공자가 말한 ‘덕으로 다스리는 정치’에 대해 배웠죠. 오늘은 공자가 애독했던 고전, 시경(詩經)을 바라보는 공자의 시선을 함께 살펴볼 거예요. 공자는 시경 300여 편의 방대한 내용을 단 한 마디로 정리했어요. 그것이 바로 “思無邪(사무사)” – 생각에 사악함이 없다는 말입니다. 이 짧은 한 구절이 담고 있는 깊은 뜻, 지금부터 함께 풀어보도록 할게요! 📋 목차 오늘의 논어 한 구절 📜 구절의 의미와 해.. 2025. 4. 1.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1편 學而 (학이) - 열여섯 번째 구절 子曰:「不患人之不己知,患不知人也。」 안녕하세요, 여러분! 😊 어제는 자공과 공자의 대화를 통해 겸손과 예(禮), 고전을 통한 통찰력에 대해 배웠죠. 오늘은 공자의 짧지만 강렬한 말씀을 통해 진정한 걱정은 ‘남이 나를 몰라주는 것’이 아니라 ‘내가 남을 제대로 모르는 것’이라는 지혜를 함께 나눠볼게요. 논어 제1편 16장의 의미 📖 사람은 누구나 인정받고 싶고, 이해받고 싶어하죠. 하지만 공자는 타인의 평가보다 내가 타인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느냐가 더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이는 내면의 성찰, 인간관계의 본질을 돌아보게 하는 깊은 메시지예요. 📌 학이편 16장의 핵심 주제 ✔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타인을 이해하는 .. 2025. 3. 29.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1편 學而 (학이) - 열네 번째 구절 子曰:「君子食無求飽,居無求安,敏於事而慎於言, 就有道而正焉,可謂好學也已。」 안녕하세요, 여러분! 😊 어제는 유자의 말씀을 통해 사람됨의 기본 덕목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오늘은 공자께서 직접 말씀하신 ‘배움을 사랑하는 사람의 삶의 태도’에 대해 배워볼 거예요. 진정으로 배우는 사람은 절제된 삶과 언행을 갖춘다는 공자의 가르침을 함께 되새겨보아요. 논어 제1편 14장의 의미 📖 이 구절은 학문을 사랑하는 사람의 구체적인 삶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단순히 책을 읽는 것이 아니라, 배움을 실천하는 삶을 살아야 진정한 학습자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어요. 📌 학이편 14장의 핵심 주제 ✔ 절제된 생활 태도는 배움의 출발점이다. ✔ 신중한.. 2025. 3. 27.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1편 學而 (학이) - 열두 번째 구절 有子曰:「禮之用,和為貴。先王之道斯為美,小大由之。有所不行,知和而和,不以禮節之,亦不可行也。」안녕하세요, 여러분! 😊 어제는 공자의 말씀을 통해 진정한 효도의 의미를 살펴봤죠. 오늘은 공자의 제자 중 한 사람인 유자(有子)의 말을 통해 ‘예(禮)’의 본질은 조화(和)에 있으며, 그 조화는 반드시 예로 조절되어야 한다는 가르침을 살펴보려 해요.논어 제1편 12장의 의미 📖이 구절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조화로운 관계가 예의 핵심이라는 점을 말합니다. 하지만 단순히 화합만을 추구할 것이 아니라, 예(禮)의 틀 안에서 조화를 이뤄야 진정으로 아름다운 삶의 방식이 된다고 강조해요.📌 학이편 12장의 핵심 주제✔ ‘예’는 외적인 형식보다 내적인 조화를 위한 도구다. ✔ 모든 인간관계는 예를 통해 조화롭게 유지되어야.. 2025. 3. 25.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1편 學而 (학이) - 열한 번째 구절 子曰:「父在,觀其志;父沒,觀其行;三年無改於父之道,可謂孝矣。」 안녕하세요, 여러분! 😊 어제는 공자의 정치에 대한 태도와 진정한 리더는 덕에서 나온다는 가르침을 배웠습니다. 오늘은 효도의 진정한 의미를 살펴보며, 공자가 효를 단지 부모를 잘 모시는 것 이상의 의미로 설명한 내용을 배워볼게요. 논어 제1편 11장의 의미 📖 이번 구절에서 공자는 효도를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합니다. 부모가 살아계실 때는 그 자식의 뜻을 보고, 돌아가신 뒤에는 그 행동을 본다고 말하며, 부모의 삶의 방식을 그대로 따르며 3년간 변하지 않는다면, 진정으로 효도하는 자라고 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 학이편 11장의 핵심 주제 ✔ 효는 단지 섬.. 2025. 3. 24.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1편 學而 (학이) - 세 번째 구절 子曰: "巧言令色, 鮮矣仁." 안녕하세요, 여러분! 😊 어제 논어 제1편 2장에서 효(孝)와 우애(弟)가 인간됨의 근본이며, 군자는 근본을 닦아야 한다는 유자의 가르침을 배웠습니다. 오늘은 공자의 말씀을 통해 진정성과 성품의 중요성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말을 번지르르하게 하고, 얼굴빛을 꾸미는 사람치고 인(仁)을 갖춘 사람은 드물다." 과연 공자는 왜 이렇게 말했을까요? 논어 제1편 3장의 의미 📖 이번 구절에서는 진정성이 없는 말과 태도에 대한 공자의 비판이 담겨 있습니다. 즉, 겉으로는 친절한 말을 하고 좋은 표정을 짓더라도 그 마음이 올바르지 않다면 진정한 인(仁)과 거리가 멀다는 의미입니다. 📌 학이편 3장의.. 2025. 3. 16. 이전 1 2 3 4 ···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