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여행45

#0200 - 여행이 즐거워지는 사진찍기 1, 박동철 2018년 책 100권 읽기 여든다섯 번째 책입니다. 최근에는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서 읽고 있다. 사진과 관련해서 책을 집중적으로 읽고 있는데 그 많은 책을 다 구입해서 읽기에는 부담스럽다. 사진을 배우는 과정이라 바이블처럼 곁에 두고 읽고 싶은 책을 찾고 있는데 다행히 빌려 읽는 책 중에서 그런 책을 찾았다. 갖고 싶은 책이다. 1 권을 읽고 난 후 망설임 없이 두 권 모두를 구입했다. 후회하지 않으리라 생각한다. 책은 다른 책에 비해 책에 실린 사진에 대해 빠짐없이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사진을 찍은 장소, 시기, 시간대, 날씨는 물론이고 그 사진을 찍기 위한 카메라, 렌즈, 조리개, 셔터 속도, 감도, 초점거리(화각), 노출, 촬영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때문에 처음 사진을 배우는 입장.. 2018. 8. 10.
#0197 - 낡은 카메라를 들고 떠나다. 이상엽·임재천·강제욱·노순택 2018년 책 100권 읽기 여든두 번째 책입니다. 힘들다. 적응이 필요하다. 7월 말 하계휴가를 다녀왔다. 가족과 함께한 즐거운 휴가였다. 그러나 내가 원하는 그런 휴가는 아니었다. 이제 나의 휴가는 굳이 명승지나 사람이 많이 찾는 그런 피서지가 아니더라도 에어컨 빵빵하게 나오는 카페에서 조용히 책을 읽을 수 있다면 그것이 최고의 휴가다. 그러나 이번 휴가는 그렇지 못했다. 여수를 다녀왔다. 폭염 속에서도 여수를 찾은 이들이 어찌나 많은지 사람 구경 실컷 하고 왔다. 책은 한 줄도 읽지 못했다. 그래서 더 아쉬운 휴가였다. 그럼에도 이번 휴가는 나쁘지 않았다. 어머니와 함께 한 휴가라서 좋았고, 아내와 아이들이 즐거워했기에 좋았다. 그러나 언젠가 기회가 주어진다면 나도 '낡은 카메라를 들고 떠나다'의 .. 2018. 8. 2.
다솔사에서 출발하여 물고뱅이 마을 둘레길 5.8Km를 거닐다 2018년 '소확행'이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를 잡았다. '소확행'이란 '소소하지만(작지만) 확실한 행복'이라는 의미로 일본의 유명한 작가인 무라카미 하루키가 그의 소설 '랑겔한스섬의 오후'에서 처음으로 사용했다. 작가의 인지도 때문일까? 아니면 점점 더 각박해지는 세상에서 예전처럼 행복을 얻기가 힘들다고 느끼는 사람들의 생각 때문일까? 아무튼 일상의 소소한 작은 경험을 통해서 행복을 찾는 것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었다. 여행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사람들이 여행에 대한 생각이 바뀌고 있다. 여행이 '가끔 멀리' 보다 '자주 가까이'라는 개념으로 바뀐 것이다. 이러한 트렌드는 내 주변의 경우만 하더라도 SNS를 통해서 확인되었고, 나를 보더라도 그렇다. 여행에도 '소확행'의 개념이 적용되었다. 가끔 멀리 떠.. 2018. 7. 2.
여름의 문턱에서 코스모스를 바라보며 가을을 느껴봅니다. 독학으로 사진을 배우고 있다. 혹자는 요즘 세상에 누가 사진을 배우냐고 반문할 수 있다. 충분히 그렇게 말할 수 있다. 나 역시 사진을 배우기 전에는 그런 생각을 했다. 소위 말하는 뚝딱이 카메라의 경우 셔터만 누르면 모든 것을 알아서 찍어 준다. 더 나아가서 스마트폰 카메라는 뚝딱이 카메라를 시장에서 내몰아 버렸다. 시중에 유통되는 어지간한 스마트폰 카메라 기능이면 뚝딱이 카메라 수준의 사진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요즘은 AI(인공지능) 기능을 장착한 카메라 앱이 나오고 있고, 사진의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카메라 플래시에 인공지능을 탑재한 제품이 나오고 있다. 때문에 굳이 사진을 배울 필요가 있을까? 과연 그럴까? 사진을 배워야겠다고 결심하고 혼자서 사진과 관련된 책을 꾸준히 읽고 늘 카메라를 휴대하면.. 2018. 6. 15.
#0124 - 이태훈의 여행사진 100배 잘 찍기 (11) 피사체 I 2018년 책 100권 읽기 아홉 번째 책입니다. 이태훈의 여행사진 100배 잘 찍기 그 열한 번째 이야기는 '여행지에서 만나는 피사체 100배 잘 찍기'입니다. 지금까지 소설을 제외하고는 한 사람의 책을 연속해서 11권을 읽었던 경우가 있었을까요? 없을 것 같습니다. 어쩌면 소설을 포함하더라도 11권 이상의 장편이 거의 없으니 없다고 봐도 될 것 같네요. 아니네요. 딱 한 사람의 글이 있네요. 김용을 글입니다. 그의 글에 빠져서 소오강호, 천룡팔부, 녹정기 등을 연속해서 읽었던 기억이 있네요. 소설은 빠지는 매력이 있지만 사진을 지금 내가 필요해서 배우고 있지만 한 사람이 쓴 책을 연속해서 11권을 읽는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네요. 그래도 시작을 했으니 마지막 남은 2권도 끝까지 읽으려 합니다. 11.. 2018. 1. 20.
#0116 - 이태훈의 여행사진 100배 잘 찍기 (3) 프레이밍 2018년 책 100권 읽기 첫 번째 책입니다. 2018년에도 나의 책 읽기는 현재 진행형입니다. 올해는 사진과 관련된 책을 많이 볼 예정입니다. 작년에 책을 읽으면서 은퇴 후를 지금부터 준비하지 않으면 안 되겠다는 생각을 했고, 다양한 측면에서 은퇴 후의 삶을 준비를 했습니다. 그중에서 은퇴 후 시간을 보내면서 즐길 수 있는 취미 생활로 무엇이 좋을까? 생각을 했는데 사진이었습니다. 사진은 지금 취미로 하고 있는 드론과 함께 연관도 되어 있고 블로그에 글쓰기를 위해서도 좋은 소재가 되기에 지금부터 사진을 제대로 배우려 합니다. 일단 기본적인 지식이 있어야 아는 분에게 사진을 배우더라도 부담이 덜되고 더 빨리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해서 사진과 관련된 책을 골라서 읽고 있습니다. 앞서 읽었던 책의 시리즈 3.. 2018. 1. 3.
드론과 함께 하는 사천 기행, 사천의 섬 - (1) 진도 이 글은 지난 주말에 아이와 함께 비토섬에 들렀다가 그날 저녁에 노트에 적어 놓은 글을 뒤늦게 블로그로 옮긴 글입니다. 오늘은 비도 내리고 바람도 많이 불었다. 오전에는 집안일을 도우고 점심은 아빠인 내가 가족을 위해 김치말이 등갈비찜을 만들었다. 주말에는 아주 가끔 아빠가 가족을 위해 요리를 한다. 오후에는 비가 그쳤다. 그냥 집에서만 보내기 그래서 둘째 녀석과 함께 비토섬을 다녀왔다. 올해 드론을 구입한 이후로 사천에 있는 섬들을 사진과 영상으로 찍어서 인터넷에 소개하고 있다. 오늘 소개할 사천의 섬은 '진도'라는 섬이다. 대한민국 국민에게 아픈 상처로 남아 있는 그 진도와 이름이 같다. 어떤 섬일까? 궁금하다. 아직 이 섬에 대해서 아는 게 없다. 지난번 해상 낚시공원이 있는 비토섬의 별학도에 갔을.. 2017. 12. 14.
[알쓸신잡 2] 다섯 번째 여행지 - 북제주 여행 편 오늘은 퇴근하면서 아내와 두 아이를 불러 내었습니다. 서울설렁탕에서 참숯갈비로 외식을 하고 집에 들어와서는 샤워 후 잠깐 쉬면서 알쓸신잡을 볼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이번 주 여행지는 제주도입니다. 제주 여행도 2주에 걸쳐 방송이 진행됩니다. 이번에는 북제주입니다. 알쓸신잡을 보기 전에는 배를 두둑이 채워야 합니다. 제주도 여행을 다녀온 지 꽤 오래되었네요. 가족과 함께 제주도 여행은 아직 없습니다. 올해는 다 지나갔고, 내년에는 가족과 함께 제주도 여행을 다녀와 볼까요? 오늘 알쓸신잡의 내용을 보고 결정을 하겠습니다. 알쓸신잡 시즌 1과 시즌 2를 통틀어 바다를 건너는 여행은 처음입니다. 알쓸신잡 첫 비행 코스라서 이번에는 김포공항에서 모두 집결을 합니다. 오늘도 먼저 도착한 사람들은 각자 제주도 여행.. 2017. 11. 27.
[알쓸신잡 2] 두 번째 여행지 - 영월 가는 길 알쓸신잡 시즌 2 두 번째 여행지는 강원도 영월입니다. 영월로 향하는 버스에서부터 이들의 재미난 이야기는 시작됩니다. 항상 즐겨보는 프로그램이라 본방을 사수하고 싶었지만 서울 출장 복귀 후라 본방을 보다가 잠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인터넷으로 재방을 보았습니다. 오늘은 어떤 이야기가 있을까요? 기대가 됩니다. 그럼 오늘 영월 편을 보고 눈과 귀를 열어준 이야기를 간략하게 정리할까 합니다. 영월에서 그들의 이야기도 어김없이 밤에 시작이 됩니다. 왜 이야기는 밤이 맛있게 느껴질까요? 오늘 이야기는 연탄불이 있는 대폿집에서 시작이 되어서 아련한 향수를 느낄 수 있습니다. 이제 그들의 이야기로 빠져 들어가 볼까요. 알쓸신잡의 주도권은 유시민 작가입니다. 그는 고기를 굽는 것도 자신이 해야 하면서 논리를 전개합니다.. 2017. 11.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