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독서경영135

#0178 - 1Q84 BOOK2 7月-9月, 무라카미 하루키 2018년 책 100권 읽기 예순세 번째 책입니다. 주말을 바쁘게 보내고 있다. 주중보다 더 바쁘다. 해야 할 것들, 하고 싶은 것들이 많다. 내 삶에서 행복을 추구하고 행복을 느끼는 시간은 주중보다는 주말에 몰려있다. 책 읽는 것도 행복을 느끼는 것 중 하나다. 이번 주말에는 꼭 읽어야 할 책이 있다. 바로 무라카미 하루키 작가의 '1Q84 BOOK2'이다. 주중에 사천도서관에서 문자를 받았다. BOOK2를 예약을 걸어 놓았는데, 반납이 되었다고 연락이 왔다. 23일(토)까지 도서관에 들러서 대출을 하라고 했다. BOOK2와 BOOK3을 다 다 대출할까 생각을 했다. 그러나 BOOK2만 대여했다. 600페이지가 넘는 분량이라 주말에 책을 다 읽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했다. 대신 무라카미 하루키 작가의 단.. 2018. 6. 25.
#0177 - 명화로 만나는 서양 미술사 2, 최병용 2018년 책 100권 읽기 예순두 번째 책입니다. 만화로 읽는 서양 미술사 그 두 번째 이야기를 책으로 읽었습니다. 미술사 복잡하네요. 시대에 따라서 무슨 사조가 그렇게 많은지. 심지어 근대에 와서는 동시대에도 다양한 사조가 있어서 미술사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많네요. 아마도 예술을 하는 사람들이라 남들과 조금이라도 다르기를 바라는 심리가 작용되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아무튼 2권은 신고전주의에서 현대 추상 미술까지입니다. 근대 미술로 넘어오면서 다양한 미술 사조가 등장했고 각 사조를 대표하는 작가들을 배출했습니다. 처음부터 이를 이해하겠다고 하면 욕심이겠죠? 이 작품은 많이 보았던 작품입니다. 인상주의 화가의 대표 주자인 모네의 작품이라고 합니다. 예전에 누군가로부터 전해 들었던 이야기가 생각납니다... 2018. 6. 20.
#0176 - 무라카미 하루키를 읽는 오후, 유카와 유타카, 고야마 데쓰로 2018년 책 100권 읽기 예순한 번째 책입니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1Q84 BOOK2'를 읽고 싶었다. 그러나 그럴 수 없었다. 다른 이가 먼저 책을 대출했다. 24일까지 기다려야 한다. 기다리자. 다른 책을 읽고 있다. 최근에는 다독을 하고 있다. 집에서 읽는 책이 있고, 카페에서 읽는 책이 있고, 회사에서 틈틈이 읽는 책이 있다. 문제는 지금은 무라카미 하루키 작가에 꽂혀서 그의 책을 읽고 싶다는 것이다. 도서관에 무라카미 하루키의 다른 책을 검색했다. 아직 읽지 않은 다른 책 중에서 특별히 눈에 띄는 책이 없다. 주중에 도서관에 들러서 책을 대여할 시간도 없다. 전자책으로 눈을 돌렸다. 그가 직접 쓴 책은 보이지 않았다. 대신에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에 관한 책들이 보였다. 그중에 한 권의 책을.. 2018. 6. 19.
#0174 - 대장 김창수, 이원태, 김탁환 2018년 책 100권 읽기 쉰아홉 번째 책입니다. '대장 김창수' 아내가 보고 싶다고 해서 영화로 먼저 보았다. 영화를 끝까지 보고서야 김창수가 백범 김구라는 것을 알았다. 영화의 엔딩 자막을 통해 김창수가 백범 김구라는 것을 알았고, 이 영화가 그의 청년 시절의 이야기라는 것을 알았다. 사실 백범 김구라면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장이라는 사실은 모두들 알고 있다. 때문에 그의 청년 시절이 그렇게 순탄한 삶은 아닐 것이라 생각은 할 수 있지만 이토록 파란만장한 젊은 시절을 보냈을 줄 몰랐다. 영화를 통해 나의 무지함을 느끼고 다시 책을 통해 백범 김구 아니 그의 청년 시절인 대장 김창수에 대해 조금 더 알고 싶었다. 책을 다 읽었다. 다른 책으로 바뀐 것을 보고 아내가 나에게 .. 2018. 6. 15.
#0173 - 명화로 만나는 서양 미술사 1, 최병용 2018년 책 100권 읽기 쉰여덟 번째 책입니다. 새로운 분야의 책을 읽었다 서양 미술사와 관련된 책이다. 자의든 타의든 미술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책을 읽은 것은 초등, 중등 교육 이후로 처음인 것 같다. 고등 교육부터는 입시와 관련이 없어서 미술 수업은 없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것이 우리의 교육 현실이다. 원래 그림에 소질이 없어서 미술에 관심도 없었지만 우리의 교육 과정이 입시 위주로 되어 있어서 최소한의 인문적 소양을 위한 미술과 관련된 지식을 습득할 기회도 없었다. 그렇게 미술은 내 인생에서 잊힌 상태로 지내왔는데, 지금 서양 미술사와 관련된 한 권의 책을 읽었다. 이 책은 만화로 된 책이다. 그림으로 되어 있어서 접근성은 좋다. 쉽게 읽을 수 있고, 대략적인 맥락을 읽기에는 좋은 것 같다... 2018. 6. 13.
#0170 - 사진예술, 2018년 5월호(VOL. 349) 2018년 책 100권 읽기 쉰다섯 번째 책입니다. 월간사진에 이어 사진과 관련된 잡지를 한 권 더 구독했다. 이번에는 '사진예술'이란 잡지다. 잡지를 통해서 많은 것을 얻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그냥 사진을 바라보는 내 시야를 넓힐 수 있다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사진이 사진으로만 남을 때보다 작가의 생각이 글로 더해질 때 더 많은 것을 전달할 수 있다고 생각을 한다. 물론 좋은 사진은 사진 자체로도 많은 것을 전달할 수 있지만, 아무나 그런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의 렌즈를 통해 세상을 남들과 달리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은 대가들만 가능하고, 그런 사진은 보고 해석하는 것도 별도의 능력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월간사진 또는 사진예술에 실린 사진을 보면 가끔 그런 사진들이 보인다. 부.. 2018. 6. 8.
#0169 - 시민의 교양, 채사장 2018년 책 100권 읽기 쉰네 번째 책입니다. 지난 주말은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이 아닌 혼자 도서관에서 시간을 보냈다. 최근에 소설을 읽으면서 재미를 느끼고 있고, 이제는 김훈 작가의 '칼의 노래'와 무라카미 하루키 작가의 '1Q84'를 읽어도 되겠다는 생각을 했다. 사천 도서관에서 책을 빌리기 위해 들렀다. 다른 코너에서 채사장의 책이 눈에 들어왔다. 아직 읽지 않은 '시민의 교양'이란 책이다. 채사장의 책은 지금까지 다 좋았다. 생각이 행복을 지배했다. 이 책을 함께 빌렸다. 아뿔싸 그런데 이 책은 지난달에 내가 전자책으로 구입한 책이다. 뭐 어쩌겠는가 이렇게 빌렸으니 오래간만에 종이 냄새를 맡으며 책을 읽는 것도 나쁘지 않았다. 2018/05/23 - [리디북스] - 5월 리디북스 도서 구매.. 2018. 6. 5.
#0168 - 월간사진, 2018년 5월호 2018년 책 100권 읽기 쉰세 번째 책입니다. 5월을 보내고 6월이 되어서야 월간사진 6월호를 읽었다. 처음 월간사진을 읽을 때는 글보다는 사진 위주로 가볍게 읽었다. 지금도 사진을 중심으로 잡지를 본다. 그러나 5월에 읽었던 '사진작가 길승우'라는 소설의 영향 때문일까 사진에 대해서 나름 해석을 하려고 노력을 한다. 이제 사진이란 스펙트럼이 얼마나 넓은지 이해를 한다. 어쩌면 내가 사진과 관련해서 읽었던 기술적인 내용의 책 보다 '사진작가 길승우'라는 소설을 통해서 사진에 대해 더 많은 이해와 생각을 한 것 같다. 물론 이전에 사진과 관련된 책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고 생각은 한다. 잡지는 그냥 가볍게 읽는다. 잡지에서 깊이 있는 정보를 얻을 생각은 없다. 그냥 사진에 관심을 두고 있으니 만큼 사.. 2018. 6. 4.
#0167 - 사진작가 길승우 (6), 나성문, 현대판타지 장편소설 2018년 책 100권 읽기 쉰두 번째 책입니다. 드디어 마지막 6권입니다. 지금까지는 속도를 내어 빠르게 책을 읽었는데 마지막 권이라 생각되니 조금 천천히 책을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마지막이 아닙니다. 기꺼해야 하는 것인지? 아니면 슬퍼해야 하는 것인지? 분명 책을 구입할 때는 6권까지 있어서 묶음으로 구입을 했는데, 6권으로 이야기가 종결이 되지 않았습니다. 책은 문피아라는 사이트에서 계속 연재되고 있으며 책이 한 권 분량이 채워지면 다시 책으로 출간될 것 같습니다. 저는 그 사이 기다리면서 다른 책을 읽어야 할 것 같습니다. 굳이 문피아 사이트에 접속해서 매일 새로운 분량이 올라오기를 기다리는 행동을 하고 싶지 않습니다. 6권의 이야기는 보도 분야에서 사진기자로 활동을 접고 다시 .. 2018. 6.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