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1편 學而 (학이) - 두 번째 구절
有子曰: "其爲人也孝弟而好犯上者, 鮮矣. 不好犯上而好作亂者, 未之有也. 君子務本, 本立而道生. 孝弟也者, 其爲仁之本與!"안녕하세요, 여러분! 😊 어제 논어의 첫 구절을 통해 배움의 기쁨과 군자의 태도를 배웠습니다. 오늘은 논어 제1편 2장을 학습하며 효(孝)와 우애(弟), 그리고 근본을 중시하는 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자(有子)는 공자의 제자로, 공자의 사상을 이어받아 "효와 우애를 실천하는 사람은 윗사람에게 함부로 대하지 않으며, 윗사람을 거스르지 않는 사람은 난을 일으키지 않는다."라고 가르쳤습니다.논어 제1편 2장의 의미 📖이번 구절에서는 효(孝)와 우애(弟)가 인간됨의 근본이며, 군자는 근본을 중시해야 한다는 가르침이 담겨 있습니다. 즉, 효와 우애를 실천하는 사람이 사회에서도 올바르게..
2025. 3. 15.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1편 學而 (학이) - 첫 번째 구절
子曰: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안녕하세요, 여러분! 😊 오늘부터 다시 논어 제1편 '학이(學而)'를 학습하며 공자의 가르침을 처음부터 되새겨보는 시간을 가지려 합니다. 이번 학습을 통해 공자의 철학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우리의 삶에 더 잘 적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 봅시다! 논어 제1편 '學而'(학이)란? 📖 논어 제1편 '學而(학이)'는 논어 전체의 서문 역할을 하며, 배움의 중요성과 올바른 삶의 자세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공자는 이 편을 통해 배움(學), 실천(習), 도덕적 인격(君子)에 대한 가르침을 강조합니다. 즉, 단순히 배우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익히고 실천하는 것이 ..
2025. 3. 14.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子曰: "可與共學, 未可與適道; 可與適道, 未可與立; 可與立, 未可與權." "唐棣之華, 偏其反而! 豈不爾思? 室是遠而!" 子曰: "未之思也, 夫何遠之有?"
하루 한 구절, 논어 배우기 📖 | 제9편 子罕 (자한) - 서른 번째 구절 (마지막) 안녕하세요, 여러분! 😊 논어의 가르침을 하루 한 구절씩 배우며 삶에 적용할 수 있는 지혜를 찾아가고 있습니다. 오늘도 공자의 말씀을 통해 중요한 가치를 배워봅시다. 오늘은 논어 제9편 子罕(자한)의 마지막 구절(30장)을 학습하게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논어 제9편을 차근차근 학습하며 배움의 깊이와 삶의 의미를 되새기는 소중한 시간이었기를 바랍니다. 공자의 가르침을 통해 삶의 방향성을 찾고, 더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한 과정이 여러분에게도 작은 깨우침이 되었으면 합니다. 그리고 이번 학습을 마친 후에는 **논어 제10편으로 넘어가지 않고, 초심으로 돌아가 ..
2025. 3.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