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Reading Story367

#0152 - 열한계단, 채사장 2018년 책 100권 읽기 서른일곱 번째 책입니다. 채사장의 책을 읽었다.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좋았다. 지금까지 그의 이름으로 된 세 권의 책을 읽었다. 처음 읽었던 책이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이란 책이다. 두 번째 읽의 그의 책도 지대넓얕의 확장판인 '현실 너머 편'을 읽었다. 처음 채사장의 지대넓얕을 읽었을 때 그의 이름으로 출간되는 책은 모두 다 읽어야지라고 생각했다. 그만큼 그의 책이 좋았다. 그렇게 구입된 책이 '열한 계단'이다. 이 책을 구입할 당시에는 이 책이 신간이었다. 당시 채사장도 JTBC의 '말하는 대로'라는 방송에 패널로 출연해서 자신의 이 책을 읽어보라고 얘기를 했다. 그런데 이 책을 바로 읽을 수가 없었다. 이유는 지대넓얕의 확장 편인 현실 너머 편을 읽으면서 그.. 2018. 4. 30.
#0151 - 누구나 쉽게 이해하는 사진강의노트, 김성민 2018년 책 100권 읽기 서른여섯 번째 책입니다. 작년에는 드론에 관심을 가졌다. 드론을 구입하고 열심히 날렸다. 드론을 날리면서 많은 사진과 영상을 기록했고, 영상을 편집하는 것을 배우기 시작했다. 올해는 사진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영상을 편집하면서 뭔가 부족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부족한 부분을 사진으로 채울 수 있을 것 같아서 사진을 배우고 있다. 따로 누군가에게 배울 시간이 없다. 책을 읽는다. 아마도 올해 내가 읽은 책 중에서 절반 이상은 사진과 관련된 책이다. 이번에도 새로운 작가의 책을 선택해서 읽었다. 제목이 나의 시선을 끌었다. '누구나 쉽게 이해하는 사진강의노트'이다. 책을 읽고 전반적으로 좋은 느낌을 받았다. 이 책도 한 번 읽은 것으로 끝내지 않고, 내가 사진에 관심을 가지고 있.. 2018. 4. 30.
#0150 - 사슴, 백석 2018년 책 100권 읽기 서른다섯 번째 책입니다. 주말 오후 카페에서 백석의 시를 읽었습니다. 태어나서 누군가의 시집을 완독 한 것은 처음입니다. 시집을 완독 했다는 표현은 어색합니다. 다른 책들과 달리 시집은 곁에 두고 마음이 이끌릴 때마다 읽어야 할 것 같습니다. 제가 백석의 시집을 읽을 때도 그렇게 읽었습니다. 원래 책은 한 권을 잡으면 처음부터 끝까지 쭉 읽습니다. 그런데 백석의 시집은 그렇게 읽지 않았습니다. 나름 감성이 풍부하다고 느껴질 때나 센티멘털하다고 생각될 때에 그의 시를 읽었습니다. 어제는 조금 다른 상황이었습니다. 머리가 아팠습니다. 고질병입니다. 아지트인 카페에 들러 카푸치노를 시키고, 부드러운 거품에 시나몬을 듬뿍 올려서 그 향을 맡으며 두통이 사라지기를 기대했습니다. 백석의.. 2018. 4. 30.
#0149 - 월간사진, 2018년 4월호 2018년 책 100권 읽기 서른네 번째 책입니다. 월간사진 4월호에는 전설적인 사진작가들의 사진집(거장의 사진집)에 관한 기사를 특집으로 다뤘다. 아라키 노부요시, 토마스 스트루스, 다이안 아버스, 알렉스 웹 & 레베카 노리스 웹, 히로시 스키모토, 타구마 나카히라, 리네케 딕스트라, 수잔 마이젤라스, 질리언 웨어링 등이다. 모두 전설적인 사진작가라고 하는데 내가 아는 사람은 없다. 그래도 사진의 거장들이라 하니 그들의 사진을 자세히 보았다. 많은 사람들의 움직임이 있는 곳에서 장노출 사진을 통해 연출하는 사진을 나도 찍어 보고 싶다. 사진 잡지를 읽으면서 이런 생각을 하는 것만으로 잡지를 읽은 보람은 있다고 본다. 잡지가 아니었다면 이런 생각은 하지 않았을 것이다. 도전이 없고, 시도가 없다면 나는 .. 2018. 4. 27.
#0148 - 혼자서도 뚝딱! 인물사진 레시피, 백승휴 2018년 책 100권 읽기 서른세 번째 책입니다. 변화가 필요합니다. 해야 할 것도 많고, 하고 싶은 것도 많은데 일이 손에 잡히질 않습니다. 이럴 땐 책이라도 읽어야 하는데, 책도 눈에 잘 들어오지 않습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고 시간을 때우는 것은 더 힘이 듭니다. 그래서 그냥 볼 수 있는 책을 한 권 골랐습니다. 이번에도 사진과 관련된 책입니다. 이 책은 스튜디오에서 전문적인 조명 장비를 갖추고 인물 사진을 찍는 방법과 요령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실 아직 제가 이 책을 읽고 내용을 소화하기에는 어렵습니다. 그래도 묵묵히 책을 끝까지 읽어 봅시다. 책을 읽는 게 아니라 책에 있는 사진을 열심히 쳐다보았습니다. 아직 카메라에 장착하는 1개의 빛을 다루지도 못하는데 다른 빛을 같이 본다는 건 나에게 어려.. 2018. 4. 24.
#0147 - 월간사진, 2018년 3월호 2018년 책 100권 읽기 서른두 번째 책입니다. 오늘도 아지트인 카페 띠아모에서 아이패드로 책을 읽고 있습니다. 집중하기 전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책은 누가 뭐래도 잡지가 최고입니다. 3월호의 테마는 아날로그입니다. 표지 사진부터 아날로그 감성을 가득 담고 있네요. 아직도 전문적인 내용은 수박 겉핥기 수준으로 읽고 있습니다. 뭐 그래도 나쁘지 않습니다. 자꾸 그런 사진을 봐야 조금씩 눈높이가 높아지겠죠. 사진에서 아날로그 감성을 이야기 할 때 필름 카메라를 빼고 얘기할 수 없네요. 월간사진 3월호를 읽으면 아날로그 사진과 관련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다른 얘기는 지금 제 수준에서 정리할 게 없네요. 2018. 4. 23.
#0146 - 1984, 조지 오웰 2018년 책 100권 읽기 서른한 번째 책입니다. 또 한 권의 책을 읽었다. 유시민 작가는 자신의 책 '표현의 기술'을 통해서 작가가 글을 쓰는 목적에 대해 언급을 했다. '왜 쓰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자신은 '여론 형성'을 위해 글을 쓴다며, 여론 형성을 위해 글을 쓰는 대표적인 작가로 '조지 오웰'을 언급하고 있다. 그의 책 '표현의 기술'에서만 조지 오웰을 30회 이상 언급한다. 그래서 조지 오웰의 책을 읽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동물농장'에 이어 '1984'까지 조지 조웰의 대표적인 소설을 모두 읽었다. 일단 조지 오웰의 책은 읽기가 쉬웠다. 그러나 내가 읽은 두 권의 책을 통해 보면 조지 오웰은 투철한 반공주의자로 그의 책의 대부분도 공산주의가 세상의 권력을 장악하는 과정과 그들이 권력을 .. 2018. 4. 20.
#0145 - 월간사진, 2018년 2월호 2018년 책 100권 읽기 서른 번째 책입니다. 바쁜 하루를 보내며 틈틈이 조지 오웰의 소설 '1984'를 읽고 있다. 조지 오웰이라는 유명한 작가의 소설일지라도 500 페이지가 넘는 책을 읽는 것은 힘들다. 다독을 잘 못하는 편이다. 한 권의 책을 잡으면 처음부터 끝까지 쭉 읽어 내려가는데 요즘은 책 한 권을 연속해서 읽을 시간이 없기에 자투리 시간을 이용해서 가볍게 책을 읽는 것을 좋아한다. 그 자투리 시간에 읽기 가장 좋은 책이 월간지이다. 최근에는 사진에 관심을 두고 있어서 '월간사진'이라는 잡지를 읽고 있다. 과월호를 전부 다 읽을 수는 없고, 우선은 2018년 1월호부터 읽고 있다. 이번에 읽은 잡지는 2월호다. 사진과 관련된 잡지라 카메라와 관련된 정보와 각종 액세서리에 대한 상품 광고, .. 2018. 4. 17.
#0144 - 동물 농장, 조지 오웰 2018년 책 100권 읽기 스물아홉 번째 책입니다. 유시민 작가의 '표현의 기술'이라는 책을 읽으며 이 책을 꼭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후로 이 책을 읽겠다는 생각은 있었지만 고전은 어렵다는 고정관념 때문에 이 책이 쉽게 손에 잡히지 않았다. 그러다 앞서 톨스토이의 '유년 시절 · 소년 시절 · 청년 시절'이라는 책을 읽었고, 이후 이 책도 읽을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무엇보다 톨스토이의 소설의 배경이 된 1800년대 중·후반의 러시아의 모습은 청치나 경제, 그리고 문학이나 문화까지도 모두 앞서 있다고 생각을 했는데 이후에 어떻게 사회주의화가 되었는지 궁금했다. 만약 마르크스와 레닌에 의한 사회주의 사상이 러시아에 뿌리를 내리지 않았고, 스탈린이 공산화를 하지 않았다면 어떠했을까라는 생각을 했.. 2018. 4.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