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격접속12 Windows 환경에서 mstsc 명령어로 서버 혹은 데스크톱 PC에 원격접속하기 오늘은 Windows 환경에 PC에서 원격 데스크톱 연결(RDP)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 없이 Windows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mstsc 명령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작동 중인 서버 또는 데스크톱 PC에 원격 접속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서버 관리자가 아닌 경우 1회성으로 다른 서버 또는 데스크톱 PC에 접속하여 작업을 할 경우 대부분 이 방법을 이용합니다. 또는 기업의 경우 회의실에서 갑자기 내 PC에 있는 자료가 필요할 경우 개인의 PC를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허용하도록 설정해 놓고 회의실에서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통해 마치 회의실의 PC가 내 PC인 것처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보안 관리자 입장에서는 이러한 방법을 권장하지는 않습니다. 원격지에 있는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원격지의 서버가.. 2017. 9. 12. 맥북으로 윈도우 서버 혹은 데스크톱 PC에 원격 데스크톱 접속하기 요즘은 서버 관리자의 경우도 서버실에서 직접 서버를 관리하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대부분 웹 환경에서 서버를 관리하거나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를 통해 다수의 서버를 관리합니다. 저도 회사에서 서버를 관리할 때에도 그리고 개인적으로 운영하는 서버도 대부분 서버에 직접 붙어서 작업하는 경우는 없고 거의 대부분 사용하고 있는 기기를 이용해서 원격으로 서버에 붙어서 작업을 합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을 통해 구축하고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활성화한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맥북의 macOS 환경에서 Windows Server 2016에 접속하는 방법입니다. 맥북 앱스토어에서 'Microsoft Remote Desktop' 앱을 다운로드 후 설치를 합니다. MS에서 제작 배포한 앱으로 무료로 다운.. 2017. 8. 30. 원격 접속을 위한 환경구축하기 (1) WOL 활성화 방법 기술의 발달로 인해 우리는 항상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에 놓여 있습니다. 이를 조금만 잘 활용하면 때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 특정한 사람들에게만 주어진 특권이 아니라 누구나 누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그 방법을 몰라서 문명을 혜택을 누리고 있지 못하는 이들을 위해서 이 포스팅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먼저 제가 개인적으로 누리고 있는 스마트워킹을 위한 환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어 작업실이라고 불리는 우리 집 그리고 나의 방의 네트워크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나의 작업실에 대한 네트워크 구성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좀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2017/04/24 - [Smart Working] - VPN 활용법 #02 - IT 기기.. 2017. 8. 30.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