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374

2018년 새해 첫 영상은 삼천포대교의 일출 장면입니다. ♥ Final Cut Pro X를 이용한 예순 번째 영상편집 ☞ 일시 : 2018-01-01, Monday ☞ 장소 : 경남 사천시 삼천포대교 ☞ 장비 : DJI 팬텀 4 프로, 삼성 NX1 ☞ 비행 : 178회쯤 ☞ 영상 : 1920 * 1080 Full HD, 60 FPS ☞ 편집 : Final Cut Pro X Version 10.3.4 ☞ 회수 : 60회 차 2018년 무술년 새해의 시작을 일출을 구경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올해도 작년과 동일하게 삼천포대교에서 일출을 구경했습니다. 올해도 구름 한 점 없이 맑은 상태에서 깨끗한 일출을 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작년에는 삼천포대교 위에 빼곡이 일출을 구경하는 사람들이 있었는데, 작년에 고생한 기억 때문일까요? 올해는 작년에 비해 그렇게 많은 사람.. 2018. 1. 2.
2017년 마지막 가족 여행은 비토섬으로... ♥ Final Cut Pro X를 이용한 쉰아홉 번째 영상편집 ☞ 일시 : 2017-12-31, Sunday ☞ 장소 : 경남 사천시 서포면 비토섬 일대 ☞ 장비 : DJI 팬텀 4 프로 ☞ 비행 : 175회쯤 ☞ 영상 : 1920 * 1080 Full HD, 60 FPS ☞ 편집 : Final Cut Pro X Version 10.3.4 ☞ 회수 : 59회 차 어디론가 떠나고 싶은데 장소를 정하지 못했을 때 습관처럼 향하는 곳이 바로 비토섬입니다. 제가 블로그를 통해서 가장 많이 소개한 곳도 비토섬입니다. 제가 비토섬을 자주 찾는 이유는 뭐랄까? 그냥 고향 마을처럼 포근합니다. 비토섬은 혼자 왔을 때에도 아이들과 함께 왔을 때에도 모두 만족을 합니다. 오늘은 비토교를 지날 때 그냥 지나칠 수 없었습니다.. 2018. 1. 2.
2017년 독서를 되돌아보며 생각을 정리하다 2018년 새해가 시작이 되었습니다. 다시 새로운 목표를 향해서 달려야 합니다. 멈추지 말고 계속해서 앞으로 나아가면 언젠가는 목표했던 곳에 이를 수 있습니다. 이런 생각으로 책 읽기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제가 1년에 책 100권 읽기를 시작한 지 10년이 되어 갑니다. 직장 생활을 하면서 1년에 100권의 독서량을 채우기가 쉽지도 어렵지도 않습니다. 처음에는 1년에 52권 읽기를 목표로 했습니다. 1년에 52권은 직장 생활을 하면서도 충분히 읽을 수 있습니다. 1년이 52주이기에 1주일에 1권씩만 읽으면 1년에 52권을 읽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조금만 더 욕심을 내고 회사에서 점심시간을 잘 활용해서 책을 읽으면 1주일에 2권씩 읽어서 1년에 100권의 책을 읽을 수 있습니다. 2017년 읽을 책들을 .. 2018. 1. 2.
드론 안전하게 날리기 (15) - DJI 팬텀 4 프로 펌웨어(v01.05.0300) 업데이트 및 테스트 비행! 아래 사진의 DJI 팬텀 4 프로 기체를 운용한 지 10개월이 넘어서고 비행 횟수도 170회를 훌쩍 넘어서고 있습니다. 이 정도 비행이면 이제는 손에 익어서 안전하게 날릴 수 있을 거라 생각할 수 있지만 아직도 비행을 하면서 과거에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일들을 경험하게 됩니다. 때문에 드론 동호회를 통해서 다른 분들이 올린 기체 추락과 사고의 소식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합니다. 간접적인 경험을 통해 나는 유사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스스로 경각심을 주고자 함입니다. 드론을 운영한 구력이 늘어날수록 더 위험성을 느끼고 있습니다. 돌이켜 생각하면 처음 드론을 구입하고 설렘과 기대감으로 겁도 없이 막 날리면서 사고를 내지 않은 것이 천운이라는 생각까지도 합니다. 사실 GPS가 장착된 쿼드 콥터 드론의 경우 기.. 2018. 1. 2.
2018년 새해 첫 날이 지나가기 전 해야 할 것들 2018년 새해 첫날이 이렇게 지나가고 있습니다. 연휴 3일을 나름 바쁘게 보낸 것 같습니다. 오늘은 낮에 조용히 쉬면서 올해 이루고 싶은 일들을 떠올리며 생각을 정리하는 시간을 가지려 했는데 오늘도 아침부터 조금 전까지 바쁜 하루를 보냈습니다. 습관 때문에 오늘도 아침 6시에 기상을 했었고,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책을 읽을 것인지? 아니면 일출을 보러 나갈 것인지? 고민 끝에 일출을 보고 왔습니다. 맑은 날씨였고, 구름도 없어서 일출을 제대로 구경하고 왔습니다. 집에 돌아와서 아침을 먹고 아내의 집안 청소를 도우고, 아침에 찍은 일출 사진들을 SNS에 정리해서 올리고 나시 12시가 다 되습니다. 최근 며칠간 잠이 부족했기에 낮잠을 좀 잤습니다. 한 시간 정도 낮잠을 자고 점심은 간단하게 물만두로 대신하.. 2018. 1. 1.
#0115 - 이태훈의 여행사진 100배 잘 찍기 (2) 시간에 따라 변화무쌍한 빛의 색 포착법 2017년 책 52권 읽기 아흔네 번째 책입니다. 2017년 12월 30일 토요일입니다. 3일 연휴의 첫날입니다. 연말을 어떻게 보낼까 고민을 하다가 오늘도 잠깐 밖에 나갔다 들어와서 책을 읽었습니다. 연말이라 조금 의미 있는 책을 읽으려 하다가 뭔가에 한 번 꽂히면 어느 정도 수준까지 만족할 때까지 내려놓지 못하는 성격 때문에 사진과 관련된 책을 계속해서 읽었습니다. 이태훈 작가의 여행사진 100배 잘 찍기는 전체 12권으로 구성된 책입니다. 사진과 관련된 책은 종이책으로 출간을 하려면 종이도 일반 종이를 사용하면 사진의 제대로 살릴 수 없기에 인화지와 비슷한 재질의 종이를 사용해야 하고, 인화 수준으로 출력을 하기 위해 책이 비쌉니다. 그런데 전자책으로는 싸게 구입을 할 수 있어 좋습니다. 앞서 읽었.. 2017. 12. 30.
2017년 가족 종무식을 끝으로 한 해를 되돌아 보며 생각을 정리하다 오늘 회사에서 종무식을 했다. 한 해의 업무를 마감하는 행사다. 퇴근하면서 우리 가족도 종무식을 가지며 한해를 마감하는 것도 좋을 것 같았다. 퇴근하면서 케이크를 하나 사 들고 와서 함께 하는 시간을 가졌다. 나를 시작으로 아내와 아이들까지 각자 한 해를 되돌아보며 반성할 것과 바라는 사랑이 있으면 얘기를 했다. 아이들이 성장했음을 느꼈다. 작년까지만 하더라도 말도 못 하던 녀석들이 자신의 생각을 말로 표현을 했다. 말을 했다는 것으로 충분히 달라졌다. 가족 종무식을 마치고 혼자의 시간을 가졌다. 나는 개인적으로 올 한 해를 마무리하는 시간을 가져보기로 했다. 조용히 홈카페에서 지나간 시간들을 떠 올려 보았다. 우선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은 무엇일까? 어떤 일이 가장 보람 있었고 잘한 일이라 생각하는가? .. 2017. 12. 29.
#0114 - 이태훈의 여행사진 100배 잘 찍기 (1) 여행지에서 만나는 빛의 활용법 2017년 책 52권 읽기 아흔세 번째 책입니다. 나는 은퇴 후 어떤 삶을 살고 있을까? 요즘은 은퇴 후 나의 삶에 대해서 자주 생각을 한다. 얼마 전 읽었던 대한민국 트렌드 2018이란 책에 등장하는 워라밸 세대들의 경우 직장 생활을 하면서 일과 삶의 균형을 적절하게 유지하고 은퇴 후 삶을 준비하는 과정 중 하나가 직장이란 생각을 가진다고 했다. 이와 같은 기준이라면 나의 행동 패턴도 이제는 워라밸 세대에 가깝다. 이제 40 중반을 넘기고 50을 바라보고 있다. 대한민국의 적정 은퇴 연령이 60이라고 했을 때 아직 15년을 더 직장 생활을 할 것이다. 능력만 된다면 은퇴 시기를 앞 당기고 싶다. 그러나 막연하게 은퇴를 했을 경우에 시간의 공백을 채워 줄 수 없다면 느끼게 될 공허함을 상상하고 싶지 않다.. 2017. 12. 29.
#0113 - 세계미래보고서 2018, 박영숙, 제롬 글렌 2017년 책 52권 읽기 아흔두 번째 책입니다. 2017년이 이제 4일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어쩌면 2017년에 읽은 마지막 책에 대해서 글을 남기는 것이 될 것 같습니다. 앞서 읽은 트렌드 코리아 2018과 같은 목적으로 세상의 변화의 흐름을 느끼고자 이 책을 선택했습니다. 두 책의 차이점이라면 트렌드 코리아 2018의 경우 책의 제목에서와 같이 대한민국이라는 지역적인 제약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의 일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을 기초로 2018년에 예상되는 트렌드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 책은 세계 미래보고서라는 점에서 범 인류적인 측면에서 미래를 예측한 내용들이 많았습니다. 시간적인 부분도 2018년에 기록한 보고서라는 의미이지 2018년의 트렌드를 다루는 내용은 아닙니다. 다양한 관점에서의 향.. 2017. 12.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