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의 3개월 만에 포스팅을 합니다. 요즘 제 모습을 보면 너무도 게으르고 나태하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습니다. 다시 예전처럼 하루에 한 건씩 포스팅을 시작하려고 합니다. 오늘은 윈도우 10에서 갓모드(Godmode)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 7에 대한 공식적인 지원이 만료되면서 어쩔 수 없어 윈도우 10으로 넘어온 분들이 많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계속 윈도우 7만을 사용했다면 달라진 인터페이스에 적응하는데 약간이 필요할 것입니다. 특히나 각종 설정 화면의 인터페이스들이 달라져 예전에는 쉽게 변경했던 내용들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갓모드'는 윈도우 10의 숨겨진 기능 중 하나입니다. 모든 설정을 하나의 폴더에 모아서 쉽게 모든 설정 화면에 접근할 수 있도록..
최근 윈도우 10을 사용하면서 특정 환경에서 프리징 현상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윈도우 10이 문제가 많은 운영체제다'라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윈도우 10이라는 이름으로 계속해서 운영체제를 릴리즈하고 있지만 버전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 문제가 계속되는 윈도우 10 OS 버전은 2019년 봄에 배포된 버전 1903이며, 이 버전이 모든 상황에서 프리징이 발생되는 것은 아닙니다. 제 노트북이나 회사의 업무용 컴퓨터에서는 이런 증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리나 특정 환경에서는 지속적으로 프리징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다시 윈도우 10 버전은 1809로 돌아갈까 생각도 했지만 곧 1909도 배포가 될 예정이라 당분간 이대로 사용하려고 합니다. 참고로 문제가 발생되는 현상..
Windows 10 환경에서 Adobe Lightroom, Photoshop, Bridge 등의 프로그램 사용 중 컴퓨터 프리징이 발생하고 블루스크린 상에서 오류 메시지 표시 후 재부팅되는 증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최근 이런 증상을 경험하고 조치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합니다. 지금까지 이런 상황이 발행하지 않았습니다. 아래 사진이 제가 사용하는 컴퓨터 환경입니다. 최근 문제가 발생하기 전까지는 CPU를 Xeon(R) CPU E5-2409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카메라를 소니 A7R3로 바꾸고 난 후 작업 속도를 올리기 위해 CPU를 E5-1650 v2로 교체를 하였습니다. 사용하고 있던 메인보드가 ASRock X79 Extreme6라서 확장성이 좋습니다. 이 보드(BIOS 버전 P3.10)에서 지원 가능한..
오래간만에 Windows 10 업데이트와 관련된 글을 작성합니다. 결국은 이 글도 카메라로 인해 시작이 되었습니다. 최근 새롭게 구입한 카메라로 인해 5년 동안 불편함 없이 사용했던 컴퓨터를 업그레이드하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Windows 업데이트도 단행하게 되었습니다. 원래 저의 성향은 업그레이드보다는 깔끔하게 포맷 후 OS를 설치하는 클린 설치 방식을 좋아합니다. 그러나 요즘은 귀찮아서 특별히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 그냥 사용합니다. 나이가 들면 이렇게 바뀌는 것 맞죠? 마이크로소프트가 봄과 가을 일 년에 두 번 새로운 버전의 운영체제를 배포하는데 봄에 배포하는 버전은 새로운 기능이 추가가 되거나 인터페이스가 바뀌는 내용이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봄에는 클린 설치를 하고 가을에는 업그레이드로 대응하는..
지금까지 윈도우 10을 사용하면서 무한 재부팅 문제를 두 번을 경험했다. 나름 컴퓨터를 조금 만진다는 나로서도 이 문제를 해결하느라 고생을 했다. 문제는 이런 증상이 OS를 설치하고 처음부터 발생된 문제가 아니고 쭉 사용하던 컴퓨터에서 갑자기 이런 증상이 발생했다는 데 있다. 결론을 먼저 말하면 두 번다 문제는 해결되었다. 나름 문제의 원인에 대한 추론을 세우고, 원인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했지만 아직까지 그 해결 방식이 정확한 해법이라 생각되지 않는다. 때문에 또 그런 상황을 만날 수 있다. 물론 두 번의 경험을 블로그 포스팅을 통해 내용을 정리해 두었기 때문에 좀 더 쉽게 상황을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오늘 또 다른 원인으로 인해 윈도우 10의 자동 재부팅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
데스크톱 컴퓨터가 가끔 프리징 현상이 발생해서 최근에 포맷 후 다시 설치했다. 클린 설치 작업은 번거롭다. 그러나 윈도우 운영체제를 사용한다면 정기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작업이다. 포맷하고 운영체제를 다시 설치하는 것이 뭐가 어렵겠는가? 문제는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각 프로그램별로 사용 환경을 설정하는 과정이 귀찮은 것이다. 예전에는 즐겼는데 이제는 귀찮다. 늙었다는 증거다. 기억도 예전과 같지 않아서 일부는 블로그 포스팅을 참조해야 한다. 재설치 후 지금까지 문제없이 잘 사용했으나 오늘에서야 문제점을 확인했다. 2018/10/12 - [Smart Working] - 윈도우 10 RS 5 버전 1809 설치 후 Windows.old 폴더 삭제하는 방법 - 디스크 용량 줄이기2017/05/16 - [Sma..
삼성 노트북 아티브북 2015 에디션을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맥북프로도 있지만 작고 가벼워서 이 제품을 주력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제품의 모델명이 NT930X2K-KY4입니다. 제조일자가 2015년 2월이나 3년이 지난 모델입니다. 이전에는 삼성 노트북을 쳐다보지도 않았으나 이 시점부터 디자인도 좋아지고 성능도 나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당시에 회사에서 시스템 관리자 업무를 보고 있었습니다. 맥은 일부 네트워크 관리용 프로그램이 지원되지 않는 것들이 있어서 주력으로 사용하기에 불편했습니다. 때문에 서브용으로 윈도우 환경을 사용하는 노트북을 찾다가 이 제품을 구입했는데 이후 지금까지 거의 주력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2018/10/04 -Microsoft Windows 10 RS 5 버..
노트북으로 작업하기에 무거운 작업은 원격지 서버를 통해 원격으로 작업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이런 종류의 작업이다. 포토샵 또는 라이트룸에서 사진을 편집하거나 영상을 제작 과정의 랜더링 작업 등이다. 나는 노트북 선택 시 휴대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한다. 때문에 소위 울트라북이라 불리는 노트북을 사용한다. 때문에 무거운 작업은 노트북이 아닌 원격 데스크톱 접속을 통해 서버로 접속해서 수행한다. 지금까지 이렇게 쭉 이렇게 사용을 했다. 그런데 어제 갑자기 문제가 생겼다. 문제가 있다는 것은 퇴근 후 내 방에 들어가고 나서 알았다. 평소처럼 원격지에서 휴대폰으로 데스크톱을 켜고, 원격지에서 작업을 마친 후 분명히 데스크톱을 종료했다. 평소와 다름없었고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생각했다. 그런데 퇴근 후 방에 ..
윈도우 10 RS4(버전 1803)이 배포가 되었습니다. 클린 설치를 하고 싶지만 이제는 예전처럼 시간적인 여유가 많지 않고, 또 예전에는 시스템을 포맷하고 새롭게 OS를 설치하는 등의 행위가 재미가 있었지만 요즘은 재미를 느끼지 못합니다. 작년에 RS3(버전 1709)를 기반으로 클린 설치를 했기에 이번에는 클린 설치 대신에 업데이트를 통해 RS4를 설치했습니다. MS가 6개월 단위로 새로운 버전을 배포하면서 이제는 예전처럼 획기적인 변화를 기대할 수 없습니다. 아직 RS4의 사용 기간이 많지 않았짐나 아직까지 특별히 눈에 띄는 변화를 느끼는 것은 없습니다. RS4 설치와 관련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2018/05/07 - MS Windows 10 April 2018 Update(..
이번 주말은 병원과 집에서 보냈다. 책을 읽으려 했지만 책도 읽지 못했고, 드론을 띄우려 했지만 비로 인해 드론을 띄우지도 못했다. 어린이날이 겹쳐 있어서 아이들과 가까운 곳에 여행을 다녀오려 했지만 여행도 못갔다. 모든 것이 계획에서 어긋난 주말이었다. 그러나 의도치 않게 윈도우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었다. 요즘은 IT와 관련된 정보에 둔해졌다. 회사에서 하는 업무가 바뀌니 나의 생활도 따라 바뀌었다. 예전에 포스팅으로 소개를 했듯이 MS의 Major 업데이트가 매년 봄과 가을 2회로 바뀌었다. 작년 봄에는 1703 업데이트가 있었고, 작년 가을에는 1709 업데이트가 있었다. 그리고 2018년 봄 드디어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가 윈도우 10 2018년 4월 업데이트(Windows 10 A..
마이크로소프트에서 9월 2차 정기 업데이트를 배포하였습니다. MS의 배포 정책이 월 2회로 변경 후 매월 2주 차, 마지막 주차 화요일(국내 기준 수요일)에 업데이트를 배포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도 업데이트가 배포되었는데요. 아래 그림과 같이 Windows 10 Version 1703에 대한 누적 업데이트(KB4040724)입니다. 참고로 9월 2주 차 정기 업데이트 적용 후 OS 빌드 정보가 Microsoft Windows 10 버전 1703(OS 빌드 15063.608)였습니다. 이번 누적 업데이트(KB4040724)를 적용 후에는 Microsoft Windows 10 버전 1703(OS 빌드 15063.632로 변경되었습니다. Windows 10 버전 1703에 대한 업데이트 기록 및 정보는 아래 링..
오늘은 윈도우 10의 시작 메뉴와 관련하여 글을 작성합니다. 어떠세요? 이제는 윈도우 10의 시작 메뉴를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나요? 이제 출시된 지 3년이 넘어고 그 사이 레드스톤과 크리에이터 버전이 배포가 되면서 초기에 발생했던 문제점도 많이 개선이 되었고 다른 프로그램과의 호환성 문제도 거의 다 해결이 된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최근에 출시되는 장치들이 윈도우 10을 기본적으로 장착해서 출시되고 있고 또 이전 버전에서는 작동에 문제가 있거나 다운그레이드 해서 사용 중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서 업체 측에서 제품 보증을 하지 않기에 기업이 아닌 개인의 경우 이제는 윈도우 10을 많이 사용하고 계시죠? 저는 이제는 윈도우 10에 완전히 적응을 한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옛것에 대한 향수 때문인지 ..
지난 4월 윈도우 10 크리에이터 버전의 배포 이후 개인 사용자 버전인 Home 버전부터 기존 버전 사용자에 대해 단계적으로 업그레이드 실시 후 이제 기업용 사용자 버전인 Pro & Enterprise 버전에서도 업데이트가 시작되었네요. 사실 개인용 버전과 기업용 버전의 업그레이드 과정은 차이는 없습니다. 그래서 아주 간략하게 기업용 버전인 Enterprise 버전의 윈도우 10 버전 1607(레드스톤)에서 버전 1703(크리에이터)로 업그레이 되는 과정을 살펴 보겠습니다. 먼저 업데이트를 수행하기 전 현재 설치된 윈도우의 종류과 버전을 확인합니다.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현재는 윈도우 10 버전 1607(OS 빌드 14393.1198)이며 설치된 버전은 Enterprise 버전임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인생 2막에 대한 고민 중입니다. 새로운 사람을 만나서 얘기를 나누고 미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잠시 혼자 보내는 시간을 갖고 있습니다. 잠깐 시간을 내어 인터넷으로 정보를 검색하려 하는데 이 카페의 WiFi는 가끔 말썽을 피우네요. ipTime N104R 모델이고 펌웨어도 오래되었네요. 해당 펌웨어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펌웨어 업데이트를 못하시나 보네요. 예전에 말씀을 드렸는데 아직도 그대로 사용하고 있네요. 현재 펌웨어가 접속한 기기들의 세션 관리에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실제 카페이 인터넷 이용자 얼마 없는데도 추가로 접속하는 기기를 튕겨 냅니다. 오늘도 무선 AP 재부팅을 요청했고 접속 문제는 해결이 되었습니다. 맘 같아서는 관리자 id/password 요청..
윈도우 10 크리에이터 버전 1703으로 업그레이드 후 대략 1주일이란 시간이 지났습니다. 기존 버전에 비해 크게 달라진 점이 없어서 딱히 불편한 점도 없었고 더 편리했진 것도 느끼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오늘 달라진 점을 하나 찾았습니다. 이번 버전에서 달라진 것으로 예상하는데 이전 버전에서도 지원한 기능인지 모르겠네요. VPN 접속하는 데 있어 한 단계를 줄일 수 있을 것 같네요. 아래의 그림과 같이 네트워크 화면에서 바로 VPN 설정을 클릭 후 접속이 가능합니다. 우선은 종전의 VPN 접속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종전에는 아래 그림에서와 알림 센터에 VPN을 미리 표시를 해 놓고 알림 센터에서 VPN 설정 화면으로 먼저 접속을 했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VPN 설정 화면이 열리면 미리 생성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