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ying Drones

드론 안전하게 날리기 (1) - 콤파스 캘리브레이션을 확인하자!

하나모자란천사 2017. 10. 13. 11:09

아래 사진의 DJI 팬텀4 프로 기체를 운용한 지 6개월이 넘어서고 비행 횟수도 100회를 훌쩍 넘어서고 있습니다. 이 정도 비행이면 이제는 손에 익어서 안전하게 날릴 수 있을 거라 생각할 수 있지만 아직도 비행을 하면서 과거에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일들을 경험하게 됩니다. 때문에 드론 동호회를 통해서 다른 분들이 올린 기체 추락과 사고의 소식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합니다. 간접적인 경험을 통해 나는 유사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스스로 경각심을 주고자 함입니다. 드론을 운영한 구력이 늘어날수록 더 위험성을 느끼고 있습니다. 돌이켜 생각하면 처음 드론을 구입하고 설렘과 기대감으로 겁도 없이 막 날리면서 사고를 내지 않은 것이 천운이라는 생각까지도 합니다. 



사실 GPS가 장착된 쿼드 콥터 드론의 경우 기체 조종은 1시간 정도 날리면 감을 익일 수 있는 수준입니다. 그런데 그게 전부가 아닙니다. 하늘 위의 상황과 내가 직접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닌 드론의 카메라로 보는 시계는 생각보다 폭이 좁고 나의 손으로 조작하는 만큼 보이기 때문에 반응도 느립니다. 때문에 예기치 못한 상황은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도 아직 드론에 대해서 완성형은 아닙니다. 아직도 조금씩 배워나가고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얻은 저의 경험을 글로 정리해서 새롭게 드론을 시작하는 이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드론 안전하게 날리기'를 연재 형식을 빌어서 글로 정리하고자 합니다. 


 


제가 드론과 관련하여 작성한 포스팅은 제 블로그의 우측 상단 카테고리에서 'Flying Drones'를 클릭하셔서 목록을 선택 후 글을 읽을 수 있고 또는 검색창에서 '드론'을 입력해서 드론과 관련된 포스팅을 찾아서 읽을 수 있습니다.



혹, 처음 드론을 구입하고 드론을 안전하게 날리고자 검색을 타고 이곳까지 오신 분들을 위해 가장 기본이 되는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합니다. 드론은 잘 날리는 것보다 안전하게 날리는 것이 더 우선입니다. 안전을 기준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지상 기준 고도 150m 이내로 날린다.

2. 가시거리 이내(시계비행)에서 날린다.

3. 사람들과 단체로 날리지 않는다.

4. 스포츠 경기나 스타디움 위로 날리지 않는다.

5. 관제탑이나 공항당국에 사전보고 없이 공항 9.3Km 이내에서 비행하지 않는다.

6. 화재 등 응급상황 근처에서 날리지 않는다.

7. 다른 항공기 근처에서 날리지 않는다.

8. 음주비행을 하지 않는다.

9. 매뉴얼을 충분히 숙지하고 제품의 기능을 익힌 다음에 비행한다.



 드론 안전하게 날리기 (1) - 콤파스 캘리브레이션을 확인하자!



오늘 이야기는 9월 30일 토요일 오후에 경험한 내용입니다. 시간은 오후 6시를 조금 넘긴 시간이었고 장소는 사천 삼천포대교 아래 삼천포대교공원입니다. 삼천포 청널공원(구, 동서공원에서 일몰 영상을 찍고 있다가 일몰 전에 실안낙조를 담고 싶어서 급하게 장소를 삼천포대교공원으로 옮겼습니다. 그 사이 해가 뉘엿뉘엿 넘어가고 있어서 급하게 드론을 차에서 꺼내고 넓은 공터인 삼천포대교공원 특설무대(프러포즈)로 올라가서 드론을 준비시켰습니다.


순서대로 조종기 전원을 켜고, DJI GO 앱을 실행시킨 후 팬텀4 기체의 전원을 넣었습니다. 잠시 후 DJI GO 앱에서 콤파스 오류 메시지가 보입니다. 그래서 급하게 콤파스 캘리를 수행하는데 오류가 나네요. 불과 5분 전에 바로 옆 동서공원에서 드론을 잘 날리고 이곳으로 이동을 했는데... 왜 이럴까?


급한 마음에 다시 한번 캘리를 수행하는데 첫 번째 기체의 수평 모드 캘리 이후 수직 모드(기체를 90도 틸트) 캘리에서 또 오류가 뜨네요. 그 사이 해는 점점 넘어가고 있어서 급한 마음에 기체를 내리고 상태를 체크하니 콤파스 오류가 보이지 않네요. 콤파스 상태를 상세히 확인하지 않고, Ready to Fly 상태가 보여서 그냥 기체를 올려도 되겠다 싶어 기체를 올렸습니다. 


이곳은 가족 단위로 산책을 나오는 분들이 많은데 드론의 작동 소리를 듣고 아이들이 근처로 모이고 있네요. 문제는 살짝 5m 정도 띄우고 호버링 확인하고 일몰을 찍고자 했는데 기체의 호버링 상태가 이상하고 흐른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근처에는 건물도 있고 무엇보다 삼천포 대교의 교각과 교량 상판이 있어서 안전하게 다른 곳으로 이동을 시키려 피치를 조작하여 바닷가 방향으로 기체를 밀었는데 기체가 엉뚱한 방향으로 이동을 하고 대교 쪽으로 붙고 있네요. 헐~~


이런 상황이 처음이었습니다. 원인을 찾는 것은  둘째고 기체를 안전하게 내리려니 그 사이 주면에 드론을 보고 사람들이 모여 있고, 기체도 내 뜻대로 움직이지 않는 상황이라 일단 이곳을 피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스로틀을 위로 올려서 기체를 상승을 시켰습니다. 다행히 스로틀은 뜻대로 잘 움직였고, 기체를 위로 쭉 올린 후에는 피치와 롤도 정상적으로 작동을 하기 시작하네요. 


이대로 불안해서 오늘은 더 이상 비행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기체를 안전하게 내리기 위해 기체를 띄운(홈 포인터) 특설무대가 아닌 음악분수 옆 공터(거북선 전시장 앞)로 이동을 했습니다. 이유는 이곳은 평소 제가 드론을 자주 띄운 곳이기 때문입니다. 다행히 이곳으로 기체를 옮긴 후에는 기체를 지면 가까이 내렸을 때에도 피치와 롤 및 스로틀과 요우도 나의 컨트롤 내에서 정상적으로 움직이네요.


기체를 내린 후 콤파스 상태를 확인했습니다. 정상입니다. 그래서 직감적으로 의심을 했습니다. 무대에 문제가 있었구나!!! 그래서 다시 기체를 특설무대로 옮기고 콤파스를 확인하니 또 콤파스가 오류가 납니다. 저는 특설무대가 두꺼운 나무로 되어 있고 평소 아이들이 이곳에서 자전거도 타고, 많은 사람들이 대교의 풍경을 즐기는 곳이라 별 의심이 없었는데 무대의 이 나무들을 지탱하고 있는 것이 모두 철골 골재 또는 빔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오늘 또 하나 새로운 경험을 했고, 드론을 안전하게 날리기 위해서 반드시 비행 전 확인해야 하는 사항 중 하나가 콤파스 상태라는 것을 배웠습니다. 참고로 콤파스의 경우 DJI GO 앱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라고 나오기 전에는 특별히 수행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날리기 때문에 콤파스가 특별히 문제를 일으킬 일은 없습니다. 


그러나 먼 거리로 이동을 한 경우(해외여행의 경우 필수)나 지구 자기장 수치가 높은 날 또는 오늘처럼 주변에 철골 구조물이 있어서 기체의 콤파스에 영향을 줄만한 요소가 있을 때에는 콤파스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해야 합니다. 문제는 먼 거리의 이동으로 인한 콤파스 문제는 캘리브레이션을 다시 하면 되지만 자기장이 심한 경우가 철골 구조물로 인한 간섭이 있을 때에는 캘리브레이션이 정상적으로 수행이 안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경우에는 장소를 이동해서 비행을 해야 합니다.


저는 오늘 이곳에 평소에 자주 비행을 하던 곳이라 아무런 의심을 하지 않았는데 평소에 비행을 자주 하는 곳이라도 특정 조건이 성립되면 기체의 콤파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동호회 회원님을 다른 글을 보면 차량들이 주차된 공간 사이를 비행하다가 기체가 오작동해서 사고가 났다는 글도 보았습니다. 차량 사이를 지나다 차량 기체의 철판에 콤파스가 영향을 받은 것으로 의심이 됩니다.



오늘 정리된 내용을 통해 콤파스로 오류 시 또는 콤파스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있을 시 기체가 조종자의 의도대로 움직이지 않을 수 있음으로 반드시 비행전 콤파스 상태를 체크하시고 혹 오작동이 보일 경우 콤파스에 영향을 주는 물체에서 기체를 벗어나게 하기 위해서 오늘 저의 행동처럼 기체의 고도를 올려서 콤파스에 영향을 주는 물체로부터 기체를 멀리하고 안전한 장소로 이동 후 착륙을 시키기 바랍니다. 늘 안전한 비행을 즐기시는 드론 유저가 되시기 바랍니다.


 콤파스 오류 및 간섭으로 인한 사고사례



저의 경우 데크에서 드론을 띄우다가 문제가 되었고, 다른 사례를 보면 하수구 맨홀에서 띄우다가 사고가 난 경우도 있네요. 일단 드론을 띄웠는데 콤파스 오류가 발생해서 기체가 흐르거나 롤과 피치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스로틀을 위로 올려서 기체 고도를 재빨리 높여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런 후 장소를 이동하여 착륙을 시키고 기체의 콤파스 캘리브레이션을 점검해야 합니다.